'문 닫는 심야응급약국 태반'
2010.10.20 02:50 댓글쓰기
전국 2만여개 일반약국 중 58곳만이 심야응급약국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의 0.3%에 불과한 것으로, 전국 광역시도별로 개설된 심야응급약국수를 보면 접근성의 문제는 더 심각해진다는 지적이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모니터단은 최근 28개(서울지역 17개, 인천지역 3개, 경기지역 7개, 경남지역 1개)의 약국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태조사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경실련에 따르면 현재 운영중인 58개의 심야응급약국은 서울(21개)과 경기(9개)지역에 집중돼 이들 두 지역에만 전체의 51.7%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외 지역에는 부산광역시 1개, 광주광역시 3개, 대전 2개 등 광역시도별로 1개 내지 3개에 불과한 실정이다. 강원, 경북지역은 심야응급약국에 참여하고 있는 약국이 한 곳도 없었다.

전반적으로 지역주민의 접근성에 대한 문제는 여전히 해소되기 어려운 수준이라고 경실련 측은 분석했다.

서울만 보더라도 서울내 25개구 중 18개구에서만 운영되고 있고, 강남구와 동대문구를 제외하면 각 구별로 1개의 약국만 참여하고 있어 응급시 빠른 시간안에 이용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상황이라는 것이다.

모니터단이 총 59회를 방문해 실사한 결과 영업을 하고 있지 않았던 약국도 11차례(19%) 확인됐다.

이는 심야응급약국에 대한 신뢰성의 문제로, 고객의 입장에서는 영업을 하고 있는 줄 알고 찾아갔다가 헛걸음하게 되는 낭패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실사 방문시 35번의 의약품을 구매했는데 이 중 10번은 복약지도 등 설명이 전혀 없었다. 최소한의 복약지도가 필요할 만한 의약품을 중심으로 구매했으나 복용방법, 유의사항 등 약과 관련한 설명이 전혀 이뤄지지 않았던 것.

경실련은 "약사회에서 주체가 돼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지만 국민의 건강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는 사업이기에 복지부는 책임의식을 갖고 심야응급약국 사업 관리에 적극 개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