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추진 전문약사제…넘어야 할 산 많아
2010.08.03 21:37 댓글쓰기
한국병원약사회가 임상약사들의 전문성 강화를 골자로 오는 11월경 전문약사 시범사업을 도입하기로 했지만, 본격적인 제도 시행까지 험난한 난관이 예상된다.

병원약사회는 오는 11월 첫 전문약사 인증을 받은 약사를 배출하기에 앞서 오는 10월까지 교육과정을 운영하기로 했다.

분야는 ▲종양약료 ▲심혈관계질환약료 ▲영양약료 ▲중환자약료 ▲장기이식약료 ▲내분비질환약료 등 6가지이다.

그러나 지난 7월 병원약사회의 상임이사회에서 회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보면, 전문약사가 되기 위한 자격 요건이 워낙 까다롭게 설정돼 첫 해 배출자가 그리 많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병원약사회는 전문약사 인증 시험을 치르기 위해선 기본적으로 해당 분야에서 4000시간 이상 근무경력과 함께 관련 논문을 발표한 경험이 있어야 한다고 못박았다.

병원약사회 한 관계자는 “최근 조사에 따르면 두 가지 기준을 모두 충족시킨 회원은 30여명 수준이라고 전해 들었다”면서 “병원약사들이 해당 분야에서 전문성을 살릴 만큼 아직 약사들의 업무영역이 세분화되지 않은 탓”이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이 같은 사정이 앞으로도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현재도 일부 대형병원을 중심으로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내세우는 약사들이 일부 있긴 하지만, 경영상의 문제로 대부분의 병원들이 전문약사를 운영하기 힘든 형편이기 때문이다.

이 관계자가 “제도 도입 초반에는 일단 전체 병원약사들의 10% 수준에서 전문약사들이 배출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30% 정도를 적정선으로 보는 만큼 전문약사 제도의 활성화될 수 있도록 조기 정착에 힘쓰겠다”고 밝힌 것도 그래서다.

뿐만 아니라 전문약사 제도가 약대 6년제 개편과 무관하지 않은 만큼 이를 바라보는 의료계 일각의 시선이 여전히 곱지 않다는 점도 부담이다.

일각에서는 병원약사들의 이 같은 움직임을 두고 “의사들의 고유 권한인 진료권 침해가 우려된다”면서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고 있는 것.

이에 대해 병원약사회 또 다른 관계자는 “전문약사는 팀 형태로 운영돼야 효율성이 높아 제도 도입 초기에는 의사들과의 긴장감이 형성될 수도 있다”면서 “다만 업무영역을 확실히 구분 짓게 되면 오히려 각자의 전문영역에서 환자에게 최선의 치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현실은 녹록치 않다. 특히 전문약사 제도가 국내에 도입되더라도 수가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서는 쉽게 자리를 잡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단적인 예로 석·박사 위주의 전문인력들이 주로 맡는 의학물리사의 경우만 해도 그렇다.

병원에서 방사선 장비 사용 증가로 의학물리사 수요가 늘고 있지만, 지난 2003년 교과부가 발표한 ‘의학물리사 인증 고시’를 끝으로 의학물리사에 대한 지위와 활동범위에 대한 법적인 근거가 없어 병원에서 이들의 처우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몇 해 전 종양약료 분야에서 미국의 전문약사 인증을 받았다는 서울의 한 사립대학병원 약사는 “미국에서 전문가 자격을 획득하고 현재도 관련 분야에서 종사하고 있지만, 경력개발이라든지 병원에서 처우가 다르다든지 하는 것은 없다”면서 “전문약사 제도가 활성화되기 위해선 수가 개발이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병원약사회측은 “수가문제는 직역을 막론하고 가장 어려운 일 중 하나”라면서 “당장 수가 반영으로 이어지기는 어렵겠지만, 앞으로 병원협회를 비롯해 복지부와 파트너십을 갖고 꾸준히 노력해 나가다 보면 답이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