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시행 '거점약국' 비난 여론 제기
2010.06.03 03:05 댓글쓰기
보건복지부와 대한약사회가 오는 7월부터 연중무효로 24시간 문을 여는 거점약국 50곳을 마련키로 했지만 이에 대한 비판 여론이 제기되고 있다.

복지부와 약사회는 최근 동네 약국 감소 등에 따른 국민들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 서울 25개구에 각 1곳씩을 비롯해 각 시도별로 주요 지역에 나머지 25곳 등 총 50곳의 거점약국을 7월경 선보이기로 했다.

뿐만 아니라 이와는 별도로 약국 400여곳의 영업시간을 새벽 2시까지 연장하도록 하는 한편, 800여곳은 공휴일에도 문을 열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이를 바라보는 여론의 시선은 여전히 냉담하다.

정부가 서비스산업 선진화 방안 가운데 추진하려 했던 일반약의 슈퍼판매를 실력으로 저지한 바 있던 약사회가 이를 피해나가기 위한 ‘면피용’으로 거점약국 카드를 꺼내들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는 것.

한국일보는 지난 2일 사설 ‘국민 요구 피해 가는 '거점약국' 발상’을 통해 거점약국의 실효성이 크게 의심스럽다며 비판의 날을 세웠다.

사설은 “거점약국 운영 발상은 보건복지부가 대한약사회의 압력과 로비에 또다시 굴복한 결과라고 여기지 않을 수 없다”며 “긴급환자를 위해 휴일에 문을 여는 현행 당번약국제는 이미 실효성을 상실했다. 지역 약국들끼리, 약사회의 자율에 의해 운영키로 돼 있으나 환자들이 헛걸음하기 일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때문에 한국일보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약사회의 입김이 거센 일본의 경우, 지난해 6월부터 주요 감기약 해열ㆍ진통제 등 전체 비처방약의 90% 정도를 일반소매점에서 판매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며 “안전성과 유효성이 검증된 비처방 일반의약품에 대해 일반 소매점 판매를 단계적으로라도 허용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같은 날 중앙대학교 산업경제학과 이정희 교수는 매일경제에 기고한 ‘일반의약품 약국 외 판매 허용하라’란 칼럼을 통해 “일반의약품 중에서도 안전성과 유효성이 입증돼 전문지식이 필요 없는 대중적이고 일반적인 약품을 중심으로 약국 외 판매를 허용하도록 하면 된다”며 일반약의 슈퍼 판매에 대한 요구가 시대흐름이라는 견해를 보였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