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의약품 공급계약 유찰 '도미노 현상'
2010.03.12 00:00 댓글쓰기
국공립병원을 비롯해 의약품공급계약을 진행하고 있는 병원들의 입찰이 잇따라 유찰되면서 의약품 공급에 막대한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충남대병원이 의약품 연간단가계약을 위해 품목별로 진행됐던 일반경쟁입찰에서 모든 품목이 유찰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앞서 전 품목 유찰로 업계에 큰 충격을 줬던 서울대병원과 영남대병원에 이어 이번이 벌써 세 번째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 같은 유찰사태가 계속 이어지고 있는데 대해 보건복지가족부가 오는 10월부터 도입하기로 한 시장형 실거래가 상환제도, 즉 저가구매제도 인센티브제도에서 원인을 찾고 있다.

세 병원 모두 예년과 마찬가지로 계약기간 1년으로 잡고 입찰을 진행하고 있지만, 도매업체로서는 계약기간 중간에 시장형 실거래가 상환제도를 맞이하게 돼 다음해 약가인하 직격탄을 피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예전에는 상한가를 밑돌더라도 영업방침에 따라 약을 공급해오던 도매업체들이 이번에는 일제히 상한가에 맞춰 투찰가를 냈다고 들었다”며 “예년 수준에 맞춘 예산을 가지고 입찰공고를 냈을 병원이나 계약을 포기할 수밖에 없는 도매업체 모두 지금 상황이 당혹스럽기는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문제는 이 같은 유찰 상태가 세 병원에서만 그치질 않고 도미노 현상처럼 이어질 것이란 시각이 업계 전반에 걸쳐 팽배해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개성약품 백광렬 전무는 10일 열린 제약산업 미래포럼 현장에서 “그동안은 손해를 보더라도 환자에게 좋은 약을 싸게 공급한다는 취지로 입찰가를 낮춰왔지만 저가구매제도 시행으로 그럴 수 없게 됐다”며 “서울대병원을 비롯해 올해 입찰을 포기할 수밖에 없는 현실을 반영해 시장형 실거래가 제도 도입을 중단해 달라”고 불만을 토로했다.

더욱이 이러한 낙찰 실패가 계속 이어질 경우 4월 말 공급계약이 완료되는 서울대병원 비롯해 전국적으로 의약품 공급대란을 불러 올 수도 있어 자칫 환자들에게 그 피해가 고스란히 전가될 가능성마저 큰 상황이다.

업계 또 다른 관계자는 “앞으로 의약품 유찰은 계속해 일어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당장 다음 주 예정된 서울대병원의 2차 입찰은 물론 국립의료원 등 남은 곳들의 입찰도 모두 유찰되리란 것은 기정사실”이라고 전했다.

이에 대해 복지부는 오늘(12일) 중으로 의약품 정상 입찰이 가능하도록 대안을 마련해 공개한다는 방침이다.

시장형 실거래가 제도를 설계한 복지부 임종규 국장은 “서울대병원 등의 의약품 공급 유찰은 복지부로서도 우려하고 있는 사안”이라며 “현재 관련 부서에서 입장을 정리해 대책을 수립하고 있는 만큼 12일 경 발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예산이 빠듯한 국공립병원의 예가를 조정하기도 쉽지 않은데다 사적 계약관계에 정부가 개입하기에는 부담이 큰 만큼, 시장형 실거래가 상환제도 추진을 고수하고 있는 복지부가 업계의 기대를 충족시킬 수 있을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