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통제 안전성 논란, 이런 종지부 어딨나'
2009.01.20 02:35 댓글쓰기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이소프로필안티피린(IPA) 제제 안전성 문제에 대한 결정유보가 책임유보의 다른 말에 불과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1일 건강사회를 위한 약사회(건약)는 성명서를 통해 이 같이 주장하고 적극적으로 국내 조사를 벌이는 책임있는 자세를 촉구했다.

건약에 따르면 지난 19일 식약청은 중앙약사심의위원회를 진행했지만 최종 판단은 일단 유보하고 외국 사례와 문헌조사 등 자료를 보완해 추후 다시 개최할 예정이다.

건약은 성명서에서 "식약청은 그동안 IPA 제제 논란에 대해 국민들에게 어떤 공식적인 정보도 제공하지 않았다"며 "단지 몇 주전에 언론 인터뷰를 통해 일본, 독일, 스위스 등에서 이 성분의 약을 시판하고 있다며 별다른 문제를 발견할 수 없었다는 말을 슬쩍 흘렸을 뿐"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건약은 "그 와중에 국내 한 제약사는 해당성분이 들어있는 제품을 리콜하는 조치를 발표했다"며 "국민들은 도대체 누구의 말을 믿어야 하는지 혼란스러울 따름"이라고 탄식했다.

또한 식약청의 외국 사례와 문헌조사 등 자료를 보완해야 한다는 유보 이유에 대해서도 "안일한 자세"라고 질타했다.

건약은 "식약청은 지금까지 100일이 넘는 시간동안 도대체 무슨 조사를 벌인 것인가?"라며 "IPA 제제는 오래된 약물이기 때문에 문헌조사 할 것이 그리 많지도 않을 뿐더러 외국 사례는 간단히 끝낼 수 있는 조사"라고 단언했다.

이와 함께 건약은 식약청이 안전성 논란이 일고 있는 IPA제제에 대해 심층적 조사를 벌일 것을 촉구했다.

건약은 "한국의 경우 부작용 보고 자체가 극히 미흡한 실정이기 때문에 심층적이고 과학적인 조사를 수행해 그 결과를 토대로 조치에 들어가야 한다"고 충고했다.

단 건약은"PPA 때처럼 제약사 용역 사업으로 진행할 것이 아닌 국가 예산으로 신뢰성 있는 국가지정연구기관에 의뢰를 해 독립적 연구를 즉각 수행해야 한다"며 "제약사의 펀딩이 들어갔을 경우 조사 자체가 왜곡되는 수많은 사례가 있음을 식약청은 잊어서는 안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