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압 아닌 일반병실서 '코로나 확진자 치료' 불가피
서울대병원, BCP 첫 시행 후 분위기 형성···전국적 비상체계 가동 임박
2022.02.25 12:53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박대진 기자] 서울대학교병원이 일반병실에서의 코로나19 확진자 치료를 선언하면서 다른 병원들도 방역당국의 업무연속성계획 시행을 놓고 고민에 빠졌다.
 
의료진 무더기 감염으로 진료차질 등이 심화되고 있는 만큼 그동안 뒷전으로 미뤄뒀던 비상계획 카드를 꺼내 들어야 한다는 분위기가 형성되는 모습이다.
 
서울대병원은 최근 “병동에서 확진자가 발생하더라도 해당 진료과에서 무증상 혹은 경증환자를 진료한다”며 진료체계 전환을 선언했다.
 
그동안 입원환자 중에 확진자가 발생할 경우 별도로 마련된 음압병실 등으로 옮겨 치료했지만 이제부터는 기존에 사용하던 병실에서 그대로 치료를 받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이 경우 해당 진료과목 의료진은 보호구를 착용하고 환자를 진료해야 하는 만큼 감염에 노출될 위험이 크지만 병원은 “대안이 없다”며 양해를 구했다.
 
서울대병원의 이번 결정은 방역당국이 확진자 폭증에 대비해 제시한 의료기관 업무연속성계획(BCP, Business Continuity Plan) 지침안에 기인한다.
 
지침안은 신규 확진자 수가 5만명 이상으로 ‘위기’ 상황인 3단계에 진입하면 일반병동에서도 코로나19 확진자를 치료할 수 있도록 했다.
 
물론 음압시설 구축을 권장하지만 음압시설 확보가 어렵고 환자가 급증하는 등 불가피한 경우 일반병동과 공간을 분리해 병동 운영을 허용토록 했다.
 
서울대병원 역시 38병동과 39병동, 중증환자 전담치료병상(DICU)에서 코로나19 환자를 진료 중이지만 현재 원내에서 발생하는 확진자를 감당하기는 역부족으로 판단, BCP를 가동했다.
 
일선 병원 중에 BCP를 가동한 것은 서울대병원이 처음이다.
 
다른 병원들 역시 입원환자 및 의료진 감염이 잇따르고 있는 상황에서 서울대병원이 이런 결정을 내림에 따라 BCP 시행 검토에 들어갔다.
 
서울 소재 한 대학병원 기획조정실장은 “음압시설을 갖춘 중증환자 병상은 아직 여유가 있기는 하지만 최근 확산세를 감안하면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더욱이 원내 확진자들은 무증상이거나 경증인 경우가 많아 중증병상 이용 대상이 아니다”라며 “이들을 위한 진료체계를 고민 중”이라고 덧붙였다.
 
경기도 소재 대학병원 관계자는 “오미크론 대확산 이후 원내 확진자 발생이 잇따르고 있다”며 “별도 격리시설이 포화 상태인 만큼 일반병실 사용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확진자들만 모아 진료하면 좋겠지만 입원환자별 질환이 상이해 쉽지 않다”며 “내부적으로 여러 대안을 논의 중”이라고 덧붙였다.
 
주목할 부분은 BCP 3단계가 일반병실 활용이 전부가 아니라는 점이다. 하지만 일선 의료현장에서는 사실상 시행이 어렵다는 반응이 지배적이다.
 
정부 지침에 따르면 3단계부터는 모든 외래진료를 비대면 진료로 전환한다. 기존에 입원환자 외에는 의료진과 환자의 접촉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는 얘기다.
 
뿐만 아니라 의료인력의 경우 확진자 3일 격리 후 신속항원검사에서 음성이 나오면 진료현장에 다시 투입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3단계 진입시 환자와의 대면업무 종사자는 KF94 또는 N95, 장갑, 일회용 방수성긴팔가운, 고글/안면보호구 등 4종 보호세트 착용이 의무화 된다.
 
또 다른 대학병원 고위 관계자는 “외래진료의 전면적인 비대면 전환과 진료현장 의료진의 보호구 착용 의무화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의료진 3일 격리 후 업무 복귀 역시 심리적 저항감 등을 감안하면 강요하기 힘들다”며 “이 추세라면 일정 부분의 의료공백은 불가피할 것 같다”라고 덧붙였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