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 41.5% '응급실서 전염병 감염 경험'
김연하 교수팀, 200명 설문조사…'결핵·인플루엔자·수두·간염 등'
2015.06.22 11:17 댓글쓰기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확진 환자의 절반 이상이 병원에서 감염된 가운데 간호사 5명 중 2명은 응급실에서 전염병에 감염된 적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2일 사단법인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에 따르면 동아대 간호대 김연하 교수팀이 지난해 8월 병원 응급실 근무 간호사 200명(권역응급의료센터 1곳, 지역응급의료센터 4곳, 지역응급의료기관 5곳)을 설문조사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

 

대상 병원의 61.5%는 병상수가 800개 이상인 대형 기관이었다. 그 결과 간호사 41.5%가 "응급실에서 각종 전염병에 감염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응급실 내에서 가장 많이 감염된 전염병(복수 응답)은 결핵(73명)이었다. 이어 인플루엔자(60명)·수두(43명)·바이러스성 간염(41명)·옴(12명) 순이었다. 

 

김 교수팀은 응급실 감염에 대한 병원 측 방어 행동을 1∼5점으로 계량화해 분석했다. 그 결과 '응급실에 소독·멸균한 장비가 부족해 감염 예방 행동을 적절히 수행하기 어렵다'는 항목의 평가 점수가 3.4점에 그쳤다.

 

또 '보호 장구가 구비돼 있으나 간호사실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 '병원 직원들이 보호 장구를 적절하게 잘 사용하고 있다'는 항목도 3.7점, 3.8점에 불과했다.

 

전체 조사 대상자(200명)의 84.5%(169명)는 ‘감염관리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다’, 95.5%(191명)는 ‘(근무 중인 병원에) 감염관리전담 간호사가 있다’고 답했다. ‘감염노출 관리 지침서를 보유하고 있다’는 응답률도 92.5(185명)에 달했다.

 

김 교수팀은 논문에서 “의료진이 응급 상황에서 인공호흡기·기관내 삽관 등 에어로졸(aerosol)을 생성시킬 수 있는 처치를 할 때 가운·보호안경 등 보호 장구 착용의 실천이 가장 미흡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긴박한 응급실 환경에서 보호 장구 착용이 간호사의 우선순위에서 밀려나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고 강조했다.

 

김연하 교수는 “병원감염 예방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수적”이라며 “구비된 보호 장구나 물품을 의료인이 실제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번 연구 ‘응급실 간호사의 감염노출 예방행위 수행 정도와 영향 요인’은 ‘근관절건강학회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