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 막으려면 한국적 간병문화 개선 필수'
이상윤 연구위원 '메르스 사태 재발 막기 위해서는 보호자없는 병원 시급'
2015.07.22 12:34 댓글쓰기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와 같은 감염병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보호자와 간병인이 병동에 상주하는 한국형 간병문화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건강과대안연구원 이상윤 연구위원은 22일 국회에서 열린 ‘메르스 사태에서 본 병원 간병 문제 이대로 둘 수 없다’ 토론회에서 이 같이 지적했다.


이상윤 위원은 “이번 메르스 유행은 한국의 병원감염 관리체계의 허점을 보여준 것으로 그 핵심에는 간호, 간병서비스 제공 체계가 놓여있다”며 “방역체계 개혁도 중요하지만 신종감염병 예방을 위해서는 의료기관의 간호·간병서비스 제공 체계에 대한 개선이 중요한 과제”라고 말했다.


실제 7월13일 기준 메르스 확진자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전체 186명 중 35%에 해당하는 인원이 환자 가족·보호자·방문객이었으며, 간병인 역시 4%를 차지하고 있다.


통계에서 보듯이 보호자나 비공식 간병 인력의 상호감염은 병원 감염을 확산시키고, 방역관리를 위한 추적관찰, 조사 대상자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시켜 많은 시간과 자연을 필요하게 만든다는 지적이다.


이 위원은 “간호사 1인이 돌보는 환자수가 적어지면 병원에 보호자나 비공식 간병인력이 존재할 필요가 없어져 병원 감염 위험이 적어진다”며 “또한 환자나 보호자 입장에서 추가적인 시간적, 재정적 부담이 줄어들게 돼 사회적 효용도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즉, 병원 간호사 수를 늘리고 간병인력을 공식화해 보호자가 병원에 상주할 필요가 없는 ‘보호자 없는 병원’을 만들자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특히 이 위원은 “보호자 없는 병원 시행을 위한 현실적인 방안으로 간호사가 80% 이상, 간호보조인력 비율이 20%이하를 차지하는 간호팀을 구성해 간호·간병 포괄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간호보조인력 없이 100% 간호사만으로 간호·간병서비스를 공급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라며 “간호인력 중 간호사의 비율이 높을수록 의료서비스 질이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일반적이므로 간호사 비율이 높을수록 간호관리료 등 입원비 수가를 높이는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다만, 이상윤 위원은 간호보조인력의 경우 특정한 면허를 소지하도록 요구하기보다는 병원이 직접 고용을 하고 업무에 제한을 둬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위원은 “간호보조인력에 대한 병원의 교육훈련 책임을 강조하면서 간호사를 도와 간호,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게 해야 한다”며 “또한 업무영역에 대해서는 간호사의 업무가 위임되는 범위를 제약하고 환자의 일상생활활동을 돕는 것과 더불어 병실관리 등 한정적인 업무를 수행하도록 명확히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