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조무사, 포괄간호서비스 성공에 절대적'
간무협 '비율 높여야' 주장…'업무 과중 등 근무환경 개선 시급'
2014.03.12 20:00 댓글쓰기

포괄간호서비스(보호자없는병원)를 성공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선 간호조무사 비율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간호조무사협회(이하 간무협)은 지난 11일 정부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포괄간호서비스 병원 시범사업 회원 대표자 간담회'를 개최해 포괄간호서비스 제도화 정착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간무협은 "효율적인 서비스를 위해서는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구성 중 간호조무사의 비율을 더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포괄간호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간호사와 간호조무사가 '팀 간호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데 현재 포괄간호서비스에서는 간호조무사에게 업무가 가중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현재 정부가 20개 공공병원으로 확대 추진하고 있는 포괄간호서비스 시범사업은 보호자나 간병인이 아닌 병원에 소속된 간호사와 간호조무사가 환자를 돌보고 있다.

 

지난해 7월 보호자없는병원 시범사업을 실시한 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이 이용환자 79명을 대상으로 '간호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설문조사한 결과 96%가 만족도가 높다고 답한 바 있지만 원활하지 못한 간호인력 공급은 여전히 숙제로 남아 있다.

 

이에 간무협은 포괄간호서비스를 시행하는 병원에 인력 공급을 위한 구인·구직 전담 인력을 배치하고 예산 책정도 가능토록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간무협 김현숙 회장은 "포괄간호서비스가 2018년 간호조무사가 실무간호인력이 되는 시기와 연계될 수 있도록 장기적인 관점에서 검토해달라"고 요청했다.

 

"간호조무사 근무환경 열악…근무환경 제도적 개선 필요"

 

이날 간담회에서 간무협은 현재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병원에서 근무 중인 간호조무사들의 애로사항을 토로하기도 했다.

 

우선, 간호조무사 대부분 계약직으로 신분보장이 불확실하다는 점, 야간근무, 시간외 근무 등에 대한 추가수당이 지급되지 않고 있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간무협은 "3교대 근무를 하는 간호조무사와  외래에서 근무하는 간호조무사가 동일한 급여를 지급받고 있는 경우가 있다"며 “이외에도 휴게실, 탈의실은 물론 인수인계 장소마저 제공받지 못하는 열악한 근무환경”이라고 설명했다.

 

포괄간호서비스에 대한 홍보와 국민 인식 부족으로 간호조무사들이 간호인력으로 대우받지 못하고 있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간무협은 "무리한 간호서비스 요구는 물론 폭언 및 폭행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며 "중재역할을 할 수 있는 기구를 마련해 종사자들이 제도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이 같은 지적에 복지부 김건훈 사무관은 "근무여건이 어려운 가운데 간호조무사들이 포괄간호서비스사업 정착에 고생하고 있다"며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