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자 없는 병동을 표방하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인기가 여전히 고공행진 중이다. 정부의 대폭적인 지원에 힘입어 참여 의료기관이 해가 다르게 증가하는 모습이다.
다만 일선 중소병원들에게는 ‘간호사 블랙홀’에 비유될 정도로 간호사 채용난을 가중시키는 제도인 만큼 균형감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으로 633개 의료기관이 6만7081병상에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시행 중이다.
앞서 정부는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대책 일환으로 2022년까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공 병상을 10만개까지 확보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아직 약속했던 10만병상까지는 약 4만 병상이 남아있는 상태지만 지금의 추세라면 조만간 간호간병통합서비스 10만 병상 시대가 도래할 것이란 분석이다.
실제 2015년 112개 기관 7443병상이던 간호간병통합서비스 규모는 2016년 300개 기관 1만8646병상, 2017년 400개 기관 2만6381병상으로 가파르게 확대 됐다.
정부가 간호간병통합서비스의 전면적 확대를 선언한 2018년 이후에는 매년 1만 병상 이상씩 증가했다.
병상수만 놓고 보면 2018년 3만7288병상, 2019년 4만9067병상, 2020년 5만7321병상, 2021년 6만4108병상으로 급증세가 또렷했다.
2022년에는 이미 상반기 6만7000병상을 넘어선 만큼 7000병상은 무난히 돌파할 전망이다. 지난 3년 코로나19 상황을 감안하더라도 상당한 증가추세다.
주무부처인 보건복지부 역시 오는 2023년에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7000병상 시대에 맞춰 시설개선 지원 사업 예산도 전년대비 2억5200만원 증액된 86억5200만원을 편성했다.
문제는 간호사 수요 폭증이 초래하고 있는 부작용이다.
수도권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들이 앞다퉈 간호간병서비스를 도입하거나 확대하면서 지방 중소병원들의 간호인력난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지난 6월 기준으로 지역별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시행 기관을 살펴보면 경기도가 119개 병원으로 가장 많고, 서울 106개, 부산 69개 대구 58개 순이었다.
병상으로만 봐도 경기도가 1만2855병상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 1만2019병상, 부산 8390병상, 인천 4848병상 등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과 대도시 편중이 확연했다.
이로 인해 지방 중소병원들의 간호 인력난은 심각한 상황에 놓여 있다. 채용공고가 일상이 된지 오래고, 최근에는 헤드헌팅 업체까지 동원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각 병원의 간호인력 확보 상황을 나타내는 간호등급을 살펴보면 6, 7등급과 등급 미신고 병원이 1288개소로, 전체의 59.3%에 이른다.
한 지방 중소병원 원장은 “환자 입장에서는 너무 좋은 제도이지만 지방병원들로서는 곤혹스러운 정책”이라며 “수도권 병원들의 간호사 흡수 속도가 너무 가파르다”고 토로했다.
이어 “물론 지방에서도 간호간병서비스를 제공하고 싶지만 간호사를 구할 수가 없다”며 “이는 비단 지방병원이 아닌 지방환자들의 역차별과도 직결된 문제”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