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암 진료체계 사실상 '붕괴'…아이·부모 '생이별'
지방은 궤멸 '서울로 서울로'…복지부 "12월 공개 필수의료 개선 방안에 포함"
2022.11.22 06:55 댓글쓰기

필수의료 분야 전문의 부족으로 의료공백 현상이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대책마련에 나선다.


특히 소아암의 경우 진료체계가 붕괴돼, 1~2년 내 지방에 사는 아이들이 소아암에 걸리면 암치료를 받기 위해 수도권 이사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오는 12월 중 중증응급, 분만‧소아 분야 등 필수의료에 대해 전 국민이 언제 어디서나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대책을 마련, 발표할 예정이라고 21일 밝혔다.


소아암에 대해선 환자와 가족이 상경해 치료하는 등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고 부모들이 생이별 하는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 지역기반 인프라 확충 방안을 ‘필수의료 지원 대책’ 과제로 포함해 추진한다.


지역암센터, 어린이 공공전문진료센터 등 기존 공공의료 자원을 적극 활용해서 지역거점 병원 육성, 전국 소아암 전문의의 효율적인 연계 방안, 인력지원 방안 등을 검토 중이다.


이는 소아암 분야는 향후 수십년 내 전문의가 없어질 가능성과 함께 진료공백 문제가 제기된데 따른 조치다. 지방의 경우 문제는 더욱 심각해진다.


현재 전국에 소아혈액종양(소아암) 전문의는 67명이 있다. 하지만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만 42명의 전문의가 몰려있다. 지방에서는 인력 부족으로 진료가 원활하지 못해 수도권으로 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소아암은 우리나라 어린이 사망 원인 1위다. 해마다 전국에 1000명 가량 발생하는 매우 희귀한 질환이지만 치료를 잘 받으면 85% 이상 아이들이 완치돼 건강히 학교생활, 가정생활로 돌아갈 수 있다.


현재 강원도와 경북, 세종 등은 소아암을 전담하는 의사가 단 1명도 없다. 충북·울산·제주는 1명, 대전·충남·전북은 2명에 그친다. 그나마 경남·부산·대구가 4명으로 많은 편이다.


하지만 소아암 진료는 소위 3D 업종으로 젊은 의료진들 기피 분야다. 일선 현장에선 소아암 진료와 관련된 시설과 인력에 대한 투자가 부족한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소아암은 국가기반시설에 준하는 필수체계로 관리돼야 한다”면서 “최선의 치료를 전국 어디서나, 최소한 권역별로는 받을 수 있도록 소아암을 국가기반시설에 준하는 필수체계로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복지부 질병정책과는 “내년 지역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소아암 진료체계 모형’을 개발해 시범사업을 실시하는 등 지원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상경치료가 불가피한 경우, 환자와 가족이 안정적으로 머물면서 치료받을 수 있는 쉼터 등 공간 운영 등도 함께 검토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댓글 5
답변 글쓰기
0 / 2000
  • 객관의 11.22 22:58
    언제적부터 나온 이야기인데 이제사 문제가 되는 것처럼 이야기하는지. 수가도 수가지만 한번 진료나 수술 잘못하면 의사 인생이 종치고 가족도 미래가 나락으로 떨어질지 모르는데 누가 저런 총대를 멜까. 니가 멜려나
  • 산과의 11.22 20:35
    분만받는 산부인과는 이미 교도소 담장위를 걸은지 오래되었다.  출산이나  소아를 담당하는 의료는 이미 망하고 있고 상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절대 지원  하지 않는다.
  • 전문가 11.22 09:19
    앞으로 이런 상황은 더 악화되고 자칫 시기를 놓치면 방법을 찾기 힘들수도 있다.

    아이 치료하기도 힘든데 소아암을 지금같은 수가와 대우를 받고 누가 할려고 하겠냐.

    태어난 아이들 건강하게 잘 케어해서 키우는것도 저출산 해법 이상으로 중요하다
  • 소아과 감록 11.22 07:55
    이대목동 소아과 의사들 마녀사냥해서 감옥보냈는데 무죄였잖아. 이 나라는 소아과 의사하면 아무잘못 없어도 일단 감옥에 보내려고 혈안인 나라인데, 소아종양을 지방에서 진료하다고? 한국에서는 불가능하다...
  • 거참 11.22 08:50
    댓글에 추천 기능이 없는게 아쉽다

    뭐 하나 잘못되어봐라 바로 사거리에 효수되는데 누가 소아 암환자를 돌보겠냐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