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사 건물 공시지가 1위 대웅제약·2위 한미약품
제일·광동·중외 등 4곳 금싸라기 서초구 위치, 강북권 종근당·보령제약도 고가
2021.07.08 06:06 댓글쓰기
 
대웅제약, 한미약품, 종근당, 보령제약 본사 건물 전경
[데일리메디 신지호 기자] 국내 상위 제약사 건물 중 공시지가가 제일 높은 곳은 서울 강남구 소재 대웅제약으로 나타났다. 대웅제약에 이어 송파구에 있는 한미약품 본사가 2위를 기록했다.

부동산 가격이 폭등한 상황이 반영된 현실을 차치하더라도 상위 제약사 본사가 대부분 땅값이 비싼 서울 서초구에 위치해 높은 공시지가를 보였고 종근당과 보령제약은 강북권에 위치했지만 1㎡ 당 1000만원이 넘는 고가로 기록됐다.   
 
국토교통부가 공개한 부동산 공시가격알리미에 따르면 2021년 건물 공시지가 기준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대웅제약 본사 건물은 1㎡ 당 3000만원이었다.
 
대웅제약 빌딩 본관은 회사가 지난 1988년 매입했다. 해당 빌딩은 지하 3층, 지상 10층 대지면적 2657.5㎡(약 804평), 연면적 1만2167㎡(약 3681평) 규모다.  
 
주변 부동산 등에 따르면 대웅제약 빌딩가는 현재 약 1000억원대로 추산되는데 그 가치는 앞으로 훨씬 상승할 전망이다. 2016년 공시지가는 1㎡ 당 1300여만원이었는데 5년새 3배 가까이 증가했다.
 
특히 대웅제약 본사는 지하철 9호선 봉은사역과 동부간선도로 사이에 위치했으며 강남권 개발 최대 호재로 꼽히는 현대차 통합사옥(GBC)과의 거리가 100m정도 밖에 안돼 입지적 조건은 물론 미래가치 등에서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GBC 외에도 종합운동장 주변 개발, KTX·GTX 등의 교통인프라 확충 등 대규모 개발 계획이 추진될 예정이어서 향후 시세 상승에 따른 부동산 가치는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2027년 12월 준공 예정인 영동대로 지하 복합환승센터 상상도
여기에 국내 최대 규모 지하 복합시설도 생긴다. 대웅제약 본사 건물과 가까운 지하철 9호선 봉은사역과 2호선 삼성역 사이 영동대로 약 1㎞ 구간 지하에 광역 환승센터 등을 짓는 복합개발 사업이 들어선다. 

지난 6월23일 착공을 했고 2027년 12월 준공으로 계획됐다. 
 
해당 사업에는 1조7,459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며, 지하 7층까지 조성되면서 전체 시설 면적이 약 22만㎡에 달한다. 
 
주요 시설로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A·GTX-C·위례신사선·버스를 위한 복합 환승센터 및 약 1만8천㎡ 규모의 지상광장, 코엑스·GBC 연결 공간 등이 있다.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 앞 ‘한미약품’ 두번째 비싼 공시지가 
 
서울 송파구 소재 한미약품 본사 건물은 1㎡ 2012만원이다. 대웅제약 3000만원에 이어 두 번째로 비싼 공시지가다.  
 
한미약품도 2016년 공시지가는 1300만원이었는데 5년새 2000여 만원으로 상승해 건물 가치가 2배 정도 상승했다.
 
한미약품은 올해 초 시무식에서 송파구 본사 뒤편에 위치한 한미사이언스 주차장 부지에 ‘제2 한미타워’를 건립한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서대문구 종근당, 종로구 대학로 인근 보령제약도 공시지가 상위권 
 
종근당과 보령제약은 본사가 서울 강북권에 있지만 부동산 공시지가는 상위권을 기록했다. 
 
서대문구 충정로에 위치한 종근당빌딩 공시지가는 1㎡ 당 1500만원이었다. 보령제약 본사 공시지가는 1㎡  1056만원 이었다.
 
종근당빌딩은 준공년도가 1980년으로 지상 15층, 지하 3층에 연면적 2만2486㎡(6814평)으로 시세는 300억대다. 종근당빌딩은 종근당홀딩스 자회사인 종근당산업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종근당 빌딩은 지하철 2호선과 5호선이 모두 지나는 충정로역에 위치해 역 접근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마포와 공덕 오피스 타운과도 5km 내외로  가깝다.
 
2022년 착공 예정인 서울역 북부역세권 개발 사업

종근당 빌딩이 위치한 충정로역은 서울역과도 2km 내외로 가까운데 최근 서울역 일대는 북부역세권 유휴 철도부지에 ‘강북 코엑스’가 조성될 예정이어서 부동산 가치는 상승할 전망이다.
 
서울시는 서울역 북부역세권에 지하 5층~지상 최고 40층 높이, 5개 동 규모 전시·호텔·판매·업무·주거 복합단지를 조성하는 내용의 개발계획안을 최종 확정했다.
 
착공은 2022년 예정으로 총 사업 2조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서울 도심과 강북권 최초로 마이스(MICE: 기업회의·포상관광·컨벤션·전시회) 시설을 구축한다.
 
종로구 대학로에 있는 보령제약 보령빌딩은 준공년도 1993년 지하 7층, 지상 18층에 연면적 3만600㎡(9256평)으로 시세는 약 300억대로 추정된다.
 
보령빌딩은 종로구 종로4가에 위치해 대중교통은 지하철 1호선 종로5가역이 도보 약5-6분 거리, 4호선 혜화역과도 가깝다. 
 
을지로, 광화문 오피스타운과도 가까워 접근성이 훌륭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상위 제약사 몰려있는 서초구 부동산값 초고가...일동제약은 아름다운 건축물 수상
 
서울 서초구에 있는 제일약품, 광동제약, JW중외제약, 일동제약 본사 전경 
서울 서초구에는 제일약품과 광동제약, JW중외제약, 일동제약 본사가 있다.  
 
제일약품과 광동제약 1㎡당 공시지가는 각각 2009만원과 1936만원으로 확인됐다. JW중외제약, 일동제약도 1450만원, 1210만원을 보이며 서초에 본사가 위치한 네 기업 모두 1㎡당 1000만원을 넘었다.
 
제일약품 본사 사옥은 지하 4층, 지상 12층에 연면적 1만2255㎡(3707평)으로 강남역 일대 노른자 땅에서 비교적 규모가 큰 건물이다.
 
광동제약 본사 '가산빌딩'은 지하 4층, 지상 8층 건물로 대지 1780㎡에 연면적 1만805㎡(3274평)이며 시세는 약 700억원으로 추산된다.
 
광동제약은 현재 서울 서초동 사옥이 인원수 대비 비좁다는 평가여서 수년전부터 판교 테크노밸리로 이전을 추진했지만 지난 2017년 분양 실패로 계획이 무산됐다.
 
서초동 사옥으로 이전한 2007년 당시 인원을 사옥에 충분히 수용할 수 있었지만 10년이 넘은 지금 회사 인력이 계속 늘어나며 공간이 부족해졌다.
 
광동제약의 2007년 말 기준 인력은 715명에서 올해 3월 기준 1027명으로 40% 가까이 늘었다. 
 
광동제약 관계자는 “인력이 계속 늘어나면서 현재 사옥이 비좁아졌기 때문에 판교로 본사 자체를 이전을 추진하다 입찰에 참여했으나 떨어졌다”면서 “당시 흩어진 인력을 판교로 모아 시너지 효과를 기대했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는 외부 건물에 사무실을 일부 임대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당분간 이전 계획이 없다”고 덧붙였다.
 
JW중외제약은 지하철 3호선 남부터미널역과 양재역 사이 ‘JW타워’에 서울 본사가 있다.
 
지하 5층 지상 14층 규모로 준공년도는 1990년이지만 2012년 리모델링을 했고 연면적이 2만9729㎡(9009평)에 달한다. 하지만 JW중외제약은 조만간 서초를 떠나 2023년 과천에 입주할 예정이다.
 
JW중외제약 지주사인 JW홀딩스가 2018년 서울 서초구 서초동 사옥인 JW타워를 매각했기 때문이다.
 
JW그룹은 R&D 역량 강화를 위해 본사를 과천 신사옥으로 옮긴다. 과천 신사옥은 지하 4층~지상 11층에 연면적 3만5527m² 규모다. 지난해 12월  착공에 들어가 오는 2023년 준공 예정으로 590억원 정도가 투자된다. 
 
JW그룹 신사옥은 그룹 본사, JW중외제약을 비롯한 각 회사 연구 조직을 한곳에 모으는 통합 R&D센터를 중심으로 설계됐다.
 
현재 서울 본사 연구조직과 충남 당진 JW생명과학의 수액연구소, 경기도 성남 JW크레아젠 연구소, 서울 금천구 가산동의 JW바이오사이언스을 한 곳으로 모으는 통합R&D센터가 건립될 예정이다. 
 
통합 신사옥으로 흩여져 있는 R&D 인력과 인프라를 한 곳에 모아 연구 시너지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일동제약은 3호선 양재역 근처 일동제약빌딩에 본사가 위치해있다. 일동제약빌딩은 지하 4층, 지상 7층 준공연도가 1992년으로 연면적이 2만0565㎡(6231평)이다. 
 
일동제약은 아름다운 건축물로 유명하다. 
 
1993년에 서울특별시건축상 동상을 같은해 한국건축전에서도 우수상을 앞서 준공연도 해에는 한국건축문화대상에서 입선을 하는 등 뛰어난 외관으로 주목받고 있다. 


댓글 1
답변 글쓰기
0 / 2000
  • 123 07.08 09:17
    기사가 길다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