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신용수 기자] 얀센 백신의 델타 변이 대응력에 논란이 커지고 있다.
국내 돌파감염 절반 이상이 얀센 백신 접종자인 것으로 밝혀진 가운데, 미국 일부 지역에서 얀센 백신 접종 이후 mRNA 백신 2차 접종을 사실상 허가하면서 얀센 백신에 대한 ‘부스터 샷’ 논란이 커질 전망이다.
4일(현지시간) CNN‧AP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미국 샌프란시스코 공중보건국(SFDPH)은 얀센 백신 접종자가 mRNA 백신 접종을 추가로 희망하는 경우 의료진 상담 전제하에 이를 허용한다고 밝혔다. 사실상 얀센 백신에 대한 부스터 샷(추가 접종)을 시행키로 한 것이다.
다만 SFDPH 측은 이 같은 허용 조치가 ‘권고’나 ‘정책 변경’이 아니라 단순 용인 수준이라고 선을 그었다.
내비나 보바 SFDPH 보건부 부국장은 “우리는 권장하거나 정책을 변경하지 않았다. 단지 요청을 수용하고 있을 뿐”이라며 “의사와의 면담을 기반으로 환자들의 몇 가지 추가 접종 요청이 있었고 우리는 단지 이를 용인한 것”이라고 말했다.
얀센 백신에 대한 우려는 이전부터 제기됐다. 다른 백신과 달리 1회 접종으로 끝나 항체 생성능력이 다른 백신보다 약할 수 있다는 의견이었다.
이 같은 우려는 기우가 아니었다. 국내 돌파감염 사례를 통해 얀센 백신이 취약성이 일부 확인된 것이다.
4일 방역당국 발표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기준 국내 돌파감염 추정 사례는 총 1132명인데, 이들 중 얀센이 584명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인구 10만명당 돌파감염자는 얀센 51.4명, 아스트라제네카 24.3명, 화이자 7.8명, 교차접종 1.9명 순이었다.
더 큰 문제는 국내 얀센 접종 대상자가 상대적으로 활동 반경이 넓은 젊은 층에 집중된 것이다. 전파력이 강한 델타변이 특성상 이들이 ‘수퍼 전파자’가 될 가능성이 크다.
얀센 백신은 미국 정부가 군용으로 우리 정부에 제공했는데, 당시 얀센 백신 접종 제한 연령이 30세 이상으로 한정된 까닭에 예비군 및 민방위 대원을 대상으로 선착순 접종이 이뤄졌다. 따라서 얀센 백신 접종자의 대부분은 30대 남성이 차지했다.
현재까지 국내 얀센 백신 접종자는 현재까지 총 112만9766명이다. 얀센 백신 접종자들이 연령적 특성상 사회활동이 비교적 활발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들이 언제든 돌파감염으로 인한 집단감염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해외에서는 이미 부스터 샷 도입을 본격적으로 검토하는 국가들이 속속 나오기 시작했다. 특히 영국과 프랑스, 독일의 경우 이미 부스터 샷 정책 시행을 공식화했다. 영국의 경우 9월부터, 프랑스와 독일도 가을부터 고령자 등 고위험군과 아스트라제네카‧얀센 접종자 등을 대상으로 부스터 샷에 나선다. 미국과 일본도 현재 부스터 샷 시행을 검토 중이다.
우리나라도 부스터 샷 시행이 도마 위에 올랐다. 정부는 지난달 8월 접종계획을 발표하면서 전 국민 ‘접종률 70%’를 달성하는 10~11월 이후 본격적으로 부스터 샷을 검토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접종률 70%는 일반적으로 집단면역을 형성하는 분기점으로 알려져 있다.
질병관리청 관계자는 “현재 부스터 샷에 대한 근거를 수집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라며 “지금 내부적으로 전문가 자문을 통해 검토 중인 단계”라고 밝혔다.
이어 “나라에 따라 고위험군에 대한 부스터 샷을 시행 중인 국가들이 있다”며 “우리도 다른 나라의 사례, 실제 부스터 샷에 필요한 백신 종류 등에 관한 연구와 자료를 수집하는 단계인 까닭에 현재로서 결정된 바가 있다고 말씀드리기는 어렵다. 향후 근거가 축적되면 백신 종류나 대상자 등 부스터 샷에 대한 세부사항 등을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