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환자 급증세 주춤···'국가공인' 통해 돌파
진흥원, 2차 유치기관 지정 독려···1차 모집에 의료기관 60곳 신청
2017.05.13 06:30 댓글쓰기

국내 의료기관의 외국인환자 유치 상승세가 완만해지면서 정부가 유치기관 지정사업 연착륙에 소매를 걷고 나섰다. 
 

사드 배치로 중국 의료관광객 수가 줄어들고 있는 만큼 ‘국가인증’ 개념의 유치기관 지정을 통해 비지정 의료기관과의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12일 서울 포스트타워에서 외국인환자 유치사업 설명회를 개최하고, 유치기관 지정 및 평가제도에 대해 소개했다.
 

이 제도는 의료해외진출법의 통과로 시행됐으며, 지난 1월 1차 신청접수를 시작해 총 63개 의료기관이 신청한 바 있다.
 

현재는 이들 의료기관에 대한 평가가 진행 중이고 올 하반기 2차 신청을 받을 예정으로, 이에 앞서 담당기관이 진흥원이 제도에 대한 설명의 시간을 마련했다.
 

이날 설명회에는 외국인환자 유치에 관심이 있는 의료기관 관계자들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보건산업진흥원 국제의료본부 조형철 유치기획팀장은 “외국인환자 유치실적이 앞으로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기 쉽지 않다”며 “현재 정부에서도 목표치를 낮추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국내에서 치료받는 외국인환자의 폭발적인 증가세가 어렵게 된 만큼 유치기관 지정을 통해 차별화가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물론 의료기관 입장에서는 외국인환자 유치기관 평가와 지정까지 시간적·금전적 비용이 든다.
 

병원급과 의원급 의료기관 모두 평가비용이 각각 57만원, 114만원 발생하며 병원급의 경우는 외국인환자 유치기관 지정을 받기 위해 의료기관평가인증을 먼저 획득해야 한다.
 

하지만 정부는 유치기관 지정으로 의료기관의 공신력을 높여준다는 입장이다.
 

조형철 팀장은 “지정기관이 되면 다양한 홍보 기회가 있고, 정부가 인정했다는 것 자체로 공신력을 얻을 수 있다"며 “유치기관 지정은 외국인환자 대상 마케팅에서 상당한 의미를 가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가 외국인환자 유치기관을 관리하는 것은 유치시장 활성화와 건전한 유치환경 조성을 위함”이라며 “하반기 평가지정 2차 공고에도 많은 지원 바란다”고 덧붙였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