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능후 장간 '원격의료, 의료계 소통 전제 추진'
'의료전달체계 대대적 개선, 동네의사 존경받는 환경 조성'
2018.07.20 12:12 댓글쓰기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사진]이 원격진료가 가능한 의료환경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의료계와의 소통이 전제가 됐지만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의사들의 거센 반발이 예상된다.
 

아울러 대형병원 쏠림을 막기 위해 ‘의료전달체계’를 대폭 개편하고, 장애인 건강주치의, 만성질환 관리 전담의사 등 의원급 의료기관 의사들이 존경받을 수 있는 제도를 만들어 가겠다는 방향을 제시했다.
 

박능후 장관은 19일 세종 청사에서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를 열고 원격의료 추진과 관련해 “하루가 다르게 관련 기술이 발전하고 의료환경도 변하고 있다”며 적극 추진 의지를 밝혔다.


전면 개방이 아닌 초기에는 의사가 환자와 대면 진료를 하고 이후 정기적인 관리는 원격의료를 활용할 수 있는 조건부 의사-환자간 원격의료를 허용하자는 것이다.


특히 원격의료 기술을 이용하지 못하는 데서 오는 국민 불편을 거론, 거동 불편자, 장애인들, 격·오지 거주자에 대한 진료를 담당할 수 있게 만들어 주면 상호 윈윈(win-win)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하지만 의사협회는 대형병원으로의 환자 쏠림, 의료 질 하락 등을 이유로 반대 입장을 고수해 왔다. 장관이 직접 원격의료 확대 추진 의지를 밝힘에 따라 마찰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박 장관은 “원격의료 물결을 타지 않으면 세계 최정상 수준의 한국 의료기술과 서비스가 세계 정상의 지위를 지키기 힘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도 박 장관은 “정부가 일방적으로 밀어붙이진 않을 계획”이라며 “단계마다 의료계와 충분히 상의하고 스스로 동참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든다면 반대만 하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박능후 장관은 서울의 대형병원, 상급병원으로 전국의 환자가 몰리고 있어 의료전달체계를 과감하게 손보겠다는 의지도 피력했다.


만성질환과 관련한 환자는 1차 의료기관에서 집중 관리할 수 있도록 환경을 개선하고, 상급종합병원은 중증질환, 급성기 질환을 치료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또 중증장애인이 거주 지역내 장애인 건강주치의로 등록한 의사 1명을 선택해 만성질환이나 장애 관련 건강상태 등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장애인 건강주치의’와 ‘만성질환 관리 전담의사’ 시범사업을 확대하겠다는 의사를 내비쳤다.


박 장관은 “이상적인 모습은 동네 의사들이 지역에서 존경을 받으면서 의료행위를 하는 것이다. 주민들과 평상시에 만날 수 있는 기회를 늘리는 게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접촉이 늘어나면 신뢰관계가 쌓이고, 환자들도 그 의사를 믿고 존경하게 된다”면서 “그렇게 되면 의료진도 자신의 실력을 쌓기 위해 재훈련을 받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