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평원-식약처, 데이터 연계 미흡 등 비효율적"
권병주 "의료기기 시장 확대, 치료재료 유통‧사후관리 강화 필요"
2024.06.19 12:46 댓글쓰기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식약처 데이터 연계 미흡을 타개할 시스템 개선 필요성이 학계를 중심으로 제안됐다.  


의료기기 시장 확대로 치료재료 효율적 유통과 사후관리가 더욱 중요해졌지만, 데이터 연계가 미흡해 이를 가로막는 장애물로 작용한다는 분석이다. 


권병주 연세대의대 의료기기산업학과 교수는 심평원 학술지 'HIRA Research'에 '의료기기 통합정보를 활용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식품의약품안전처 정보 연계 방안'을 발표했다.


권 교수에 따르면 현재 치료재료 등재 업무 및 관리에서 식약처의 ‘의료기기 품목 및 품목별 등급에 관한 규정’에 따른 분류체계가 활용되지 않고 있다. 


즉 ‘급여 재평가’, ‘재심사’, ‘실거래가 조사’는 물론 허가·신고 또는 인정 범위를 초과하는 사용 평가 등 국내 치료재료 급여 사후관리 제도에 식약처 의료기기 정보가 사용되지 않는 것이다. 


권 교수는 "이는 의료기기 치료재료 결정 여부가 식약처 허가 이후 심평원에서 평가되지만 두 기관의 활용 가능한 정보가 단절됐음을 의미한다"며 "배경은 복지부 의료기기와 관련된 허가 및 급여 업무 관리체계 이관으로 볼 수 있다"고 진단했다.


통합의료기기정보시스템 활용 제안


권 교수는 문제 해결을 위해 의약품 가이드맵 정보와 식약처 정보를 연계할 때 나타나는 현상을 위주로 분석했다.


이를 위해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표준코드 모델명 전환'로드맵과 의료기기 공급보고 시스템을 파악했다. 


통합의료기기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신뢰성을 높이고 연계되지 않은 데이터를 통합할 수 있는 개선안 제시를 위해서다. 


권 교수는 "의료기기 공급신고 시 EDI 코드 데이터는 제조사가 직접 등록하기 때문에 EDI 코드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며 " 심평원은 통합의료기기정보시스템에 제조업체가 입력한 EDI 코드 데이터를 관리하고 검증할 수 있어야 한다"고 지목했다. 


특히 의료기기 공급 보고 시스템을 사용할 때 UDI(고유 장치 식별자)와 EDI 코드 사용 및 연결 유망 가능성을 조명했다. 


그는 "식약처와 심평원의 의료기기 정보를 통합하면 의료기기 관리 효율성을 높이고 건강보험제도의 효과적인 운영에 기여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또한 "최종적으로는 현재 시행되는 제도 활용과 EDI 코드 모델명 중심으로 표준코드 전환해서 국내 의료기기 산업 과제였던 심평원과 식약처의 정보 연계 어려움을 해결해야 할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