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환자 증가 원자력병원…인턴·레지던트 지원 0명
전공의 공백 장기화로 업무 가중·재정부담 심화···"수련제도 보완 필요"
2025.02.07 06:52 댓글쓰기

정부 의대증원에 따른 전공의 이탈 등으로 병원 경영이 타격을 받고 있다. 최근 전공의 상반기 레지던트와 인턴 모집에서도 전공의 미복귀가 장기화 되면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한국원자력의학원은 정부 지원을 통한 암 환자 대체 의료기관 역할을 자처했지만 금년도 상반기 레지던트, 인턴 모집에서도 지원자가 단 한 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의료계에 따르면 한국원자력의학원(원장 이진경) 원자력병원은 정부 의대증원 정책에 따른 전공의 사직 등 상황에서 전공의 복귀 및 지원자 부족으로 재정 부담이 커지고 있다.


원자력병원은 의정갈등 이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지원을 약속받는 등 암 환자들 대체 병원으로 지대한 역할을 해왔다. 실제 수술에 차질이 생긴 암 환자들을 대거 받아왔다.


문제는 전공의 부재 등으로 업무가 과중한 상태인데 재정부담이 확대되고 있는 모양새다. 이미 원자력병원은 지난해 2월부터 전공의 이탈에 따른 비상진료체계를 운영해왔다.


의정갈등이 무려 1년 가까이 이어지면서 인력 추가 채용 등 인건비 지출이 크게 늘었지만, 업무 범위는 전공의보다 좁기 때문에 운영 자체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특히 공공기관으로서 상급종합병원 30여 곳에서 수술에 차질이 생긴 100여 명의 암 환자를 전원 받아 치료해 왔는데, 중증환자 비율이 높아 더욱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한국원자력의학원 관계자는 “원자력병원은 비상진료체제 운영으로 한시적인 정규직 정원 증원 요구가 이뤄졌다”며 “다만 비상진료체제 장기화 또는 의료공백 발생 시 안정적 진료 제공을 위해선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정규직 인력 확보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사직한 전공의들이 복귀하지 않고 있고, 신규 전공의 지원도 없는 상황에서 향후 의료 공백은 고질적인 문제가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면서 “비인기과는 피하고 중증환자를 보는 병원 내 근무 의사가 줄어드는 현실”이라고 말했다.


때문에 중증 암 환자 전원 등에 역할을 하는 점에서 정부 차원의 병원 운영 안정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 및 운영비 지원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원자력병원은 전공의가 부족한 상황에서 자구책의 일환으로 대체인력 투입 등을 진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지난해부터 진료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입원전담전문의, 응급실 전담의, 당직의, 간호사, 응급구조사 등 대체인력을 추가 채용하고 있으며 실제 투입되고 있다.


원자력의학원 관계자는 “과거 수련병원 이점이 존재하던 상황에선 적절한 수련환경을 조성하고 전공의 확대 등 방안을 모색했다”며 “하지만 현재 의료환경에서는 전공의 의존도가 줄어들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수련병원 이점이 사라지는 상황에서 수련환경 유지 등 제도를 따라야 하는 의무, 개정되는 전공의법에 대한 법적 부담 등을 고려해 수련병원 제도가 현실적으로 보완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