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정숙경 기자] 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집단사망 사건의 여파로 진통을 겪어야 했던 일선 현장의 의료진들이 정부와 함께 제2의 사태를 막기 위해 대책 마련에 분주하다.
2일 대한신생아학회(회장 김기수)에 따르면 신생아 감염 관리에 대한 매뉴얼 수립과 관련, 막바지 작업에 들어가면서 11월7일 질병관리본부와 관리 지침 공청회를 개최한다.
학회 관계자는 "사실 십 수 년 전부터 신생아 중환자실 개선에 대한 목소리가 제기돼 왔지만 신생아 감염, 소아 감염에 대한 대책 마련에는 지지부진했었다"고 전했다.
신생아 중환자들은 성인이나 다른 소아들에 비해 정맥 내 도관을 확보하기 어렵고, 필요한 열량의 대부분을 총 정맥 영양과 지질영양제에 의존해 높은 농도의 포도당 수액을 공급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관계자는 "다행인지, 불행인지 이대목동병원 사건을 계기로 현재 우리나라의 신생아 치료에 대한 실상을 돌아볼 수 있게 됐다"며 "이제는 기본으로 돌아가 갖춰야할 시스템을 제대로 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선, 질병관리본부는 중환자실 감염 감시에 소아 영역을 추가하고 신생아 중환자실 별도 감시체계를 개발, 운영하는 등 의료 관련 감염 감시체계를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신생아 중환자실 감염관리 지침과 지침 실행 도구를 개발하겠다는 계획이다.
복지부도 의료기관정책과를 신생아중환자실 관련 전담부서로 결정하고 신생아 세부전문의 인력 및 수가 개선 등을 추진키로 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광수 의원(민주평화당)이 지난달 국정감사에서 소아 응급환자 감염관리 대책 마련을 촉구하자 박능후 복지부 장관도 "내용을 검토해 빨리 조치를 취하겠다"고 답변한 바 있다.
당시 "신생아나 소아 환자의 90% 이상이 폐렴, 장염 등 바이러스 원인균에 의한 고열질환으로 전염력이 높은 감염병 질환에 걸릴 수 있다"며 “적합한 시설, 환자 침상 간 적합한 거리 확보, 병상 규모에 따른 격리시설 확보 등 감염 관리가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물론, 인력 확보에 대한 과제도 시급히 해결해야 한다. 학회, 의료기관, 정부 모두가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사안이다.
학회 관계자는 "사실 미국에서는 인력구조가 한국과는 판이하다. 그에 따르면 미국은 1명의 중환자실 전담의가 환자 6명, 일본은 환자 7명을 돌보지만 우리나라는 세부전문의로 따지면 13명의 환자를 책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적정성평가나 의사 수에 따른 수가 가산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있어야 할 것"이라며 "적정 의사가 신생아 중환자실에 근무해야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거듭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