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별수가제의 대표적 폐해 갑상선암?
KDI 윤희숙 연구 기고문에 정재훈 갑상선학회 이사장 반박문
2012.07.10 11:53 댓글쓰기

대한갑상선학회 정재훈 이사장이 행위별수가제의 대표 문제 사례로 갑상선암 수술 급증을 거론한 칼럼 글을 반박하고 나섰다.

 

최근 한 일간지에는 한국개발연구원(KDI) 윤희숙 연구위원이 작성한 ‘만병통치약은 아닌 포괄수가제’라는 제하의 글이 실렸다.

 

여기에서 윤 연구위원은 “유독 우리나라에서 갑상선 검사를 적극 권하고, 조직검사와 수술을 서둘러 해치우는 것은 돈 때문”이라며 “실제 한 연구는 천수(天壽)를 누리고 죽은 사람의 36%가 갑상선암을 갖고 있었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강조, 행위별수가제의 문제점 중 하나로 지적했다.

 

이에 갑상선학회 정재훈 이사장(삼성서울병원)[사진]은 10일자 같은 신문에 "윤 위원 글이 의학적 사실과 다른 부분이 있어 오해를 불러일으킬 소지가 있다"며 즉각 반박, 관련 기고문을 게재했다.

 

그는 “2000년 이후 갑상선암 검사에 초음파를 본격 적용하면서 조기 진단이 늘었다”면서 ‘병이 아니라 시술이 늘었다’는 윤 연구위원의 말을 반박했다.

 

더욱이 “갑상선암은 유전적 소인이 강하다. 한국인은 갑상선암이 잘 발생하는 유전적 소인이 있으며, 유두암 발생ㆍ진행에 관여하는 유전자 변이가 다른 나라보다 현저히 많은 사실은 확실히 밝혀져 있다”고 덧붙였다.

 

윤 연구위원이 ‘갑상선암을 무리해서 찾거나 서둘러 수술할 필요가 없다’고 한 것에 대해서도 고령화시대에 갑상선암을 조기 치료하지 않으면 재발 및 변이 등이 문제가 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경제학자 눈에는 그렇게 보일지 모르지만 의사들은 환자 안전 최우선 생각"

 

정재훈 이사장은 “국내 갑상선암의 95%가 10년 생존율이 90%에 이를 만큼 예후가 좋은 유두암이라는 점을 말하는 듯 하다”면서도 “하지만 장기적으로 유두암의 10~15%가 재발하거나 기존 치료법이 안 듣는 골치 아픈 암으로 변한다”고 설명했다.

 

유두암을 제외한 나머지 5% 갑상선암은 치료가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그는 “미분화암은 거의 대부분 진단 후 6개월 안에 사망한다”면서 “우리나라 갑상선암 신환은 매년 3만2000명이다. 이 중 4600~6100명은 재발하거나,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숨진다”고 환기시켰다.

 

‘천수를 누리고 죽은 사람의 36%가 갑상선암을 가지고 있다’고 쓴 부분에 대해서도 의학계 입장을 피력했다.

 

정 이사장은 “그렇게 발견되는 갑상선암은 거의 모두 0.3㎝ 이하이니 미세암이다. 발병 초기라서 문제가 없었을 뿐, 더 오래 살았다면 얼마든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었다”고 말했다.

 

특히 대한갑상선학회는 대한갑상선내분비외과학회ㆍ대한내분비학회와 함께 2010년 ‘주위로 전이된 증거가 없는 0.5㎝ 이하 갑상선 종양은 세포 검사도 하지 말라’고 권유했으며, 무절제한 진단ㆍ수술을 규제하는 진료 가이드라인을 발표한 바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의사가 환자를 통해 사익을 추구한다' '갑상선을 뒤져서 수술받게 하는 행태'라는 칼럼의 주장은 지나치다”면서 “최근 갑상선암 수술 급증이 보건복지를 전공하는 경제학자에게는 행위별수가제로 인한 과잉 진료로 보일지 모르지만, 의사로서는 환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