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정책 수용하면서 오히려 손실 커지는 병원들'
병협, 2차 수가협상 종료···'한계상황 직면, 수가인상 없으면 끝장난다”
2018.05.25 18:05 댓글쓰기

“문재인 케어가 시행되면 가장 큰 피해를 보는 병원계 입장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수가인상이 이뤄져야 한다. 이번 환산지수계약은 그 어느때 보다 더 절실하다. 높은 수치를 들고 협상장을 나갈 것이다.”


25일 2차 수가협상을 마친 대한병원협회 박용주 수가협상단장[사진]은 병원계의 어려운 상황을 강조하며 수가인상의 정당성을 강조했다.


박 단장은 “병원은 경영 정상화가 어려운 한계점에 놓여있다. 선택진료비가 폐지되고 병상 간격이 넓어지며 병상 수 자체가 줄어들었다. 정부가 추진하는 제도에 적극참여한 까닭에 많은 손실이 생기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감염관리 등 시설투자비는 늘어나고 전공의특별법 시행으로 의료현장의 공백을 메꾸는 과정이 힘든 현실이며, 여기에 최저임금 상승까지 겹쳤다. 수가인상이 없으면, 문제는 더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문 케어 시행에 따른 피해와 손실이 가장 크게 나타날 유형임을 감안해 보다 높은 폭의 인상이 이뤄져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박 단장은 “최근 정부가 수가협상과 적정수가는 별개라고 했는데, 말이 안 되는 부분이다. 수가의 한 축인 환산지수를 빼놓고 적정수가를 얘기하기는 어렵다. 당연히 높은 환산지수가 나와야 적정수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소신발언을 내놓았다. 


그는 “이번에는 예년보다 훨씬 더 높은 폭의 인상률을 받아야만 한다. 이를 위해 정체된 진료비 상승 폭 등 철저한 논리로 협상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