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번아웃이 자살위험성을 높이는 주요인으로 확인됐다. 우울증 여부와 상관없이 자살 위험성은 최대 77%까지 높여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세부수치를 살펴보면 번아웃의 증상 중에서도 신체·정서적 탈진이 있는 직장인들의 경우에는 ▲우울증 보유 직장인은 자살 사고 위험을 36%, 우울증이 없는 경우도 자살 사고의 위험을 최대 77% 증가시켰다.
강북삼성병원 기업정신건강연구소 오대종 교수, 정신건강의학과 전상원·조성준 교수 연구팀은 다양한 직업군의 직장인들에서 번아웃과 자살 사고 간 유의미한 연관성이 있는지를 조사해 공개했다고 19일 밝혔다.
한국은 OECD 회원국 42개국 중 자살률 순위 1위다. 2021년 통계청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자살은 국민 10~30대 사망원인 1위, 40~60대 사망원인 2위다.
그동안 보건의료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에서 번아웃이 자살 위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은 익히 알려졌으나, 이외 직업에서도 번아웃이 자살 위험성을 높이는지는 규명된 바 없다.
이에 연구팀은 연구팀은 2020년~2022년 사이에 직장인 마음건강증진 서비스를 이용한 제조, 금융, 서비스, 유통, 건설, 공공 행정 등 다양한 직역의 근로자 1만3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해 번아웃과 자살 사고 유무를 조사했다.
연구 결과, 번아웃 증상 중에서도 신체·정서적 탈진이 있는 직장인들의 경우 ▲우울증이 있는 직장인에서는 자살사고 위험 36% ▲우울증이 없는 직장인에서도 위험을 77% 증가시켰다.
탈진 상태 직장인 중에서도 특히 자기 직무를 스스로 조절할 수 없거나, 직장 내 분위기가 우호적이지 않은 경우 자살 사고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북삼성병원 기업정신건강연구소 오대종 교수는 “신체적, 정신적 에너지가 소진된 직장인들의 경우, 우울증 여부와 상관없이 자살 위험성 증가 여부를 잘 관찰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이어 “이번 연구는 다양한 직업군에서 번아웃, 우울증 그리고 자살 사고 사이의 연관성을 확인한 최초의 대규모 단면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며 “생산가능인구를 대상으로 한 자살 예방 정책이 앞으로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