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남북 정상회담·의사 파업···2018년 재현되나
의협 비대위·회장 당선인, 이달 27일 집단휴진 투쟁 검토···추이 촉각
2018.04.10 12:03 댓글쓰기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와 최대집 의협회장 당선인이 집단행동의 일환으로 오는 4월27일 집단휴진 카드를 검토하고 있어 추이가 주목된다.
 

의협 비대위와 시도의사회장단은 지난 8일 문재인케어 저지를 위한 투쟁 방법 등을 집중 논의, 4가지의 투쟁안을 확정했다.
 

우선 1안은 27일에 집단휴진 및 특별분회 비상총회를 개최하는 것이고 2안은 29일 전국의사총궐기대회를 여는 것이다.
 

3안은 29일 문케어 저지 투쟁 계획안 확정을 위한 전국의사대표자 대토론회를 개최하고 4안은 5월 13일 전국의사총궐기대회를 진행하는 것이다.
 

주목할 만한 부분은 27일 집단휴진 카드다. 최 당선인은 40대 의협회장 당선 이후부터 문케어 저지를 위한 집단휴진이 가능하다고 예고한 바 있다.
 

하지만 27일은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첫 남북 정상회담이 예정돼 있어 집단휴진을 하기가 쉽지는 않은 상황이다.

의료계가 지난 2007년에 이어 11년 만에 개최되는 남북 정상회담에 고춧가루를 뿌리려 한다는 비난을 피하기 어렵고, 국민들의 동의도 얻기 어렵기 때문이다.
 

물론 남북 정상회담 때 집단휴진을 진행한 선례는 있다. 지난 2000년 의약분업 파동 때도 김대중 전 대통령과 김정일 위원장 간 정상회담이 있었다.
 

당시 김 전 대통령은 평양을 방문, 김 위원장과 6.15 공동선언을 통해 통일 문제의 자주적 해결, 이산가족 문제 해결, 남북 간 교류 활성화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의료계는 6.15 공동선언 닷새 후인 6월 20일 집단휴진에 돌입했다. 특히 이 날은 김대중 대통령이 방북을 끝나고 돌아오는 날이었지만 대다수의 동네의원들이 문을 닫았다.

특히 종합병원을 비롯 3차 의료기관인 대학병원에서 전공의들이 사표를 제출하고 전면 파업에 들어가 사회적으로 엄청난 혼란을 초래했고 이로 인해 대통령의 방북 의미가 상당히 퇴색된 바 있다. 당시 의협 집행부도 대통령의 특단조치를 요구하며 농성에 들어갔다.
 

이런 측면에서 의료계가 중지를 모은다면 4월27일 남북 정상회담이 개최되더라도 집단휴진이 불가능하지만은 않다는 것이다.
 

다만, 최후 보루나 마찬가지인 집단휴진 카드를 최 당선인의 임기 시작 전부터 시행한다는 데 부담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최대집 당선인과 시도의사회장단은 14일 회의를 통해 이번 집단행동 일정을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최 당선인은 “심장을 살리는 수술을 하려면 심장을 잠시 멈춰야 하는 것처럼 의료를 살릴 수 있는 방법이 의료를 멈추는 것 밖에 없다면, 의사들은 의료를 살리기 위해 기꺼이 의료를 멈출 것”이라며 “정부가 의료계 요구사항을 수용하지 않으면 집단행동에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