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사태로 간병문화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대두돼 포괄간호서비스 확대 실시를 요청하는 사회적 요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지난 2년간 시범사업을 펼친 일산병원이 제도정착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핵심은 진료과 특성을 반영한 인력배치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22일 일산병원 부은희 간호부장은 병원 지하 대강당에서 진행된 ‘포괄간호서비스 시범사업 성과와 발전방향’ 심포지엄에서 “안정적 운영을 위한 표준 가이드라인을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부 간호부장이 분석한 결과, 내과병동이 외과병동 보다 많은 인력이 필요했다.
내과병동은 재원일수가 길어질수록 간호 필요도가 급격히 높아진다. 특히 낙상, 욕창 환자가 많아지기 때문에 이를 돌봐야할 간호사 충원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반면 외과병동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적정성 평가로 처방이 줄어들어 간호 필요도가 낮아졌다. 또 전공의 확보율 저조 현상으로 인해 필요한 외과 간호사 수도 감소했다는 설명이다.
부 간호부장은 “현재 정부가 만든 ‘간호필요도 평가점수’에 추가적으로 낙상 및 욕창 고위험군 환자수를 반영한 인력배치를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즉,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간호활동이 평가에 포함되지 않아 효율적 운영이 힘들다는 것이다.
이어 “수련병원인 경우에는 입원 진료량과 배정된 전공의 수를 감안해 외과병동에 간호사를 투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병상의 주중 가동률과 주말 가동률을 고려해 ‘유동적 간호사’ 배치를 위한 제도 역시 개발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포괄간호서비스의 지역사회 연계 모형개발도 진행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부 간호부장은 “당초 목적과는 달리 현재 운영되고 있는 모형은 재원일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급성기 치료 퇴원 후 자기관리를 유지하고 불필요한 의료비 지출을 감소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이어 “그 대안은 지역사회 연계 모형”이라며 “이를 통해 보건정책 및 복지사업이 수월하게 진행되고 의료자원 활용이 극대화되는 한편 퇴원환자 관리체계가 확립돼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