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의사들 거부 움직임···만성질환관리 멈추나
의사회 '시도회장단 결정 존중, 의협 결정 수용'···의협 투쟁력 힘 실려
2019.03.19 12:10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정승원 기자] 대한의사협회가 대정부 협상 중단의 일환으로 검토 중인 만성질환관리제(이하 만관제) 시범사업 보이콧에 대해 주요 당사자인 내과의사들이 치열한 논의 끝에 대한의사협회에 결정을 위임키로 했다. 

이에 따라 현재 대정부 협상을 전면 거부하고 있는 의협이 앞서 전국시도의사회장단이 결정한 내용을 수용, 만관제를 보이콧할 경우 정부 정책 추진이 전면 중단될 것으로 보인다.
 

대한개원내과의사회는 18일 긴급이사회를 개최하고 만관제 시범사업 보이콧 여부에 대해 논의했다.
 

이는 최근 시도의사회장단이 의협에 만관제 시범사업 철회을 권유하는 공문을 전달하고, 의협이 이를 적극 검토하기로 한 것에 대한 후속 조치다.
 

의협 박종혁 대변인은 “시도의사회장 협의회로부터 공문과 함께 ‘만관제 보이콧이 우리의 투쟁의지가 가볍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는 방법’이라는 내용의 연락을 받았다”며 “향후 상임이사회는 물론 출범을 앞두고 있는 의쟁투에서도 진중하게 고민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향후 대정부 투쟁을 전담하게 될 의협 의료개혁투쟁위원회에서 만관제 시범사업 보이콧 여부를 적극 검토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내과의사회는 18일 이사회를 개최해 만관제 시범사업 참여 지속 여부에 대해 논의를 거듭한 것으로 전해졌다.
 

내과의사회는 이사회를 통해 시도의사회장단의 의견을 존중하고 의협의 투쟁에 적극 참여하기로 했다.
 

다만, 내과의사들이 만관제 시범사업에 참여하고는 있지만, 회원들에게 보이콧을 요청할 수는 없다고 선을 그었다.
 

개원내과의사회 한 관계자는 “긴급 상임이사회를 개최하고 의협의 투쟁에 동참해야 한다는 데 중지를 모았다”며 “다만,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주체는 각 지역의사회다. 개별 회원들에 우리가 참여하지 말라는 이야기를 하기는 어렵다는 의견이 많았다”고 밝혔다.
 

실제로 이날 이사회에서도 만성질환관리는 의사와 환자 간 신뢰 관계가 중요한데 일방적으로 보이콧 결정을 할 수는 없다는 의견이 주를 이뤘다는 전언이다.
 

이 관계자는 “시범사업이 철회된다면 의사와 환자 간 관계가 깨져버릴 수가 있어 굉장히 조심스러운 접근이 필요하다”며 “의협의 투쟁에는 각과 의사회로서 동참하겠지만, 시범사업 보이콧에 대한 결정은 내과의사회가 아닌 지역의사회가 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