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계적인 대한민국 코로나19 검사·진료···전세계 큰 관심
메르스 이후 감염병 대응역량 급성장···국민안심병원·생활치료센터 운영
2020.04.21 11:44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특별취재팀/기획 3] 세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공포에 휩싸이고 있다. 일부 국가에선 1만명이 넘는 사망자와 10%가 넘는 치명률이 보고되는 등 인명 피해, 경제손실, 사회붕괴의 끝을 가늠하기 어렵다. 이 가운데 대한민국은 코로나19라는 감염병을 효과적으로 억제한 국가로 떠오르고 있다. 개인 자유와 인권을 존중하는 법치국가에서 어떻게 대규모 전염병과 싸워 이길 수 있는지 가늠자가 됐다는 평가다. 맞춤형 고강도 방역관리, 코로나19 확진자를 정확히 찾아내는 기기와 시스템, 의료기관의 적극적인 대처와 협조는 이를 가능케 했다. 국내를 넘어 전세계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게 된 원동력을 데일리메디가 살펴봤다. [편집자주]
 

①감염위험 원천봉쇄···슬기로운 병원생활
②‘메이드 인 코리아’ 진단키트···각국 러브콜 '쇄도'
③체계적 확진자 진료시스템···전 세계서 큰 관심
④숫자로 확인된 대힌민국 위상···치사율↓‧완치율↑
⑤각국 정상부터 외신까지 쏟아지는 찬사 ‘위상 수직상승’


19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첫 확진자 발생 이후 91일째를 맞았다. 이날 8명이 발생한 일일 신규 확진자 수는 61일 만에 한 자릿수로 내려왔다.
 

감염 확산, 사망자 증가 등 심각한 수준에 이른 다른 나라와는 달리 우리나라는 코로나19 통제에 있어 성공적 모델로 평가 받는다.


특히 한국은 국경을 열어둔 채 첫 환자가 나온 이후 지금까지 환자 추적·관리 시스템을 가동한 유일한 나라다. 초기 대응에 대한 평가는 엇갈리지만 의료기관이 큰 역할을 해냈다는 사실에는 큰 이견이 없다.


이는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를 계기로 국내 의료기관의 감염병 대응 역량이 급성장한 덕분이다. 중증 감염병 환자 치료 역량은 세계 최고다.


한국은 중동 이외 지역에서 대규모 메르스 확산 상황을 맞았던 유일한 나라다. 해당 경험으로 코로나19 사태가 확산되자 의료기관들은 병원 내 감염병 환자 동선을 분리, ‘국민안심병원’을 운영할 수 있었다.


에크모 등 중환자 치료장비는 방역물자처럼 비축했다. 빠른 진단과 격리 방식 등도 깨닫게 됐다. 드라이브 스루 검사와 감염병전담병원 등은 큰 역할을 해냈다.


코로나19 사태 초기부터 국내 의료기관은 자체적으로 마스크를 쓰지 않은 사람은 출입을 금지하고 있다. 의료기관의 집단발병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서다.


의료인 감염이 전체의 2%를 넘어가면서 정부에서도 진료 중 감염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의료기관 진입 관리를 강화했다, 가벼운 감기환자나 만성질환자 등은 전화상담이나 처방, 대리처방, 화상진료 등 비대면 진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토록 했다.


또 폐렴, 발열 등 유증상 환자에 대해서는 입원실과 중환자실에 진입 전에 진단검사를 의무적으로 실시하고, 응급실에는 사전환자분류소·격리진료구역을 마련했다.


동시에 의심환자 조기 발견을 위해 내원 환자의 코로나19 발생지역 방문력, 확진자 접촉력 등을 수진자조회시스템, 해외여행력정보제공프로그램(ITS),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DUR) 등을 통해 의료기관에 제공했다.


“건강보험제도 통한 환자 추적관리·병원과 의료진 헌신적 노력의 결과물”


전 국민 건강보험제도를 도입하면서 모든 환자를 추적 관리할 수 있게 된 사실은 국내 의료 시스템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다.
 

모든 국민의 암 통계를 정확히 내는 나라는 한국을 포함해 전 세계에 5개국 밖에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민등록번호와 의료보험을 기반으로 한 국내 암역학은 이미 세계적 수준이다.


그동안 문제점으로 지적돼온 박리다매식 의료시장은 역설적이게도 코로나19 사태에서 빛을 발했다. 한국처럼 수백, 수천대의 고가장비를 보유한 검사수탁기관이 있는 나라도 흔치 않다


병원마다 갖춘 컴퓨터단층촬영(CT) 장비, 암 진단 등에 쓰이던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RT-PCR) 검사기기 등으로 코로나19를 잡아내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폭넓게 진단 검사를 실시, 환자를 조속히 찾아내고, 확진자의 중증도를 분류해 환자 상태에 따른 적절한 처치가 이뤄지도록 했다.


전국적으로 설치된 생활치료센터가 해당 역할을 충실히 수행, 의료자원의 효율적 활용으로 치명도를 낮추고 의료체계 붕괴를 막을 수 있었다.


경영악화의 어려운 상황에 놓인 병원계의 희생이 눈에 띈다. 대구·경북지역 상황이 악화되자 서울을 비롯한 전국의 대형 의료기관에선 속속 의료진을 파견, 응급실 및 생활치료센터의 인력부족 상황을 진정시켰다.


한 의료계 인사는 “대한민국의 견고한 방역관리 시스템 및 현장 의료진의 헌신적 노력으로 코로나19 대응은 성과를 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 사태로 유럽과 미국의 의료체계를 다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의료시스템은 영국, 일본 등 특정 국가 지향이 아닌 독자적으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고 말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