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한해진 기자] 중증외상환자의 예방 가능한 사망률 개선을 위한 권역외상센터 사업이 10년차를 맞이한 가운데, 전체 사망률은 줄었으나 환자가 전원되는 비율은 오히려 증가해 체계적인 외상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제안이 나왔다.
권역외상센터 사업은 2012년부터 시작, 현재 전국에 17개의 권역외상센터가 지정돼 있다. 그러나 이들 센터가 실제 환자 임상 결과에 어떤 영향을 줬는지에 대한 분석은 주로 2015년 이후 자료로 이뤄졌다.
이에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연구팀은 최근 권역외상센터사업 시작 이후 전국 외상환자 진료 패턴과 임상 결과의 변화 연구를 통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중증외상환자(ICISS 산출법으로 분류) 연도별 임상결과를 정리했다.
그 결과, 입원후 48시간 이내 및 1주 일이내, 1달 이내 사망률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했다.
응급기관의 종별에 따라 나눠 분석했을 때도 사망률은 지역응급센터와 지역응급기관은 연도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줄었다. 권역응급센터의 경우 연도에 따른 증감은 있었지만 권역외상센터가 본격적으로 운영됐던 2017년 이후부터 감소세를 보였다.
반면 전체 전원율은 10.1%에서 15.3%까지 유의하게 증가했다.
분석기간 동안 외상으로 응급의료기관을 방문한 환자는 약 1269만명 가량이었으며, 중증도 또한 지속적으로 심화됐다.
연구팀은 "고령 환자 비율이 60.4%에서 72.2%까지 큰 폭으로 증가했고 중증도도 늘어나는 상황에서도 급성기 사망이라고 묶을 수 있는 48시간 이내 사망을 비롯해 다른 사망률도 연도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즉, 2015년경부터 본격적으로 활성화된 권역외상센터 역할이 컸음을 알 수 있다.
이어 "중증외상 환자 전원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했다는 것은 외상 환자가 적절한 진료를 받기 위해 전원되는 건수가 늘었다는 것"이라면서도 "병원 전(前) 이송 단계 개선의 여지가 많은 것으로 생각해 볼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전원율 증가 자체는, 권역외상센터가 운영되면서 중증외상환자 치료 여력이 없는 병원들이 환자를 이송할 수 있게 됐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이기도 하다.
실제로 지역응급센터와 지역응급기관의 사망률이 외상센터 운영 이후 기간에 유의하게 낮아졌다. 권역외상센터가 각 외상시스템의 중추적 역할을 해야 한다는 설립 취지를 만족시킨 셈이다.
하지만 48시간 이내 환자 전원은 모든 시점의 사망 위험인자인 만큼, 중증외상 환자에서 최소한의 전원을 고려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것이 연구팀 설명이다.
연구팀은 “사업 이후 중증외상환자의 급성기 전원율 증가는 적절한 의료기관 이송 등에 있어 개선 여지가 있을 것”이라며 “소방, 권역외상센터, 지역 응급센터들을 포함하는 지역외상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어 “전체적인 예방가능 사망률이 20%정도로 줄어든 시점이므로 현재의 외상센터 이외에도 지역적 특성에 따른 외상환자 급성기 치료를 담당할 낮은 단계 기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