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부처마다 정보 요구, 의료진 피로도 가중'
허윤정 교수 '의료자원 등 통합관리 필요하고 장기적 감염병 재난 대응력 확보'
2021.06.26 06:22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임수민 기자] 감염병 위기 대응 필수보건의료자원에 대한 통합적 관리시스템 부재로 정부 각 부처에서 의료기관에 개별적으로 정보를 요청해 의료진들의 업무 피로도가 가중된다는 전문가 지적이 나왔다.
 
허윤정 아주의대 교수는 최근 김성주 의원이 개최한 감염병 위기 대응 필수보건의료자원 통합 관리 방안 국회토론회에서 ‘감염병 위기 대응 필수 보건의료자원 통합관리 필요성’을 주제로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허윤정 교수는 “이전에도 사스나 신종플루, 메르스 등과 같은 감염병이 발생했지만 코로나19만큼 전 세계적으로 장기화됐던 적이 없어 보건의료자원의 배분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없었다”며 “하지만 코로나19를 통해 방역물품을 포함한 보건의료자원 관리 통제 시스템 부재로 사회 혼란이 야기됐기 때문에 필수적 보건의료자원의 효율적 자원배분이 중요해졌다”고 설명했다.
 
현재 국내 의료인력과 시설 장비 의약품 등 보건의료자원은 보건복지부, 행정안전부, 식품의약품안전처, 질병관리청,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에서 개별적, 산발적으로 관리하는 실정이다.
 
또한 수가와 연계된 자원만 업데이트되도록 현황을 신고해 관계 법령에 해당되지 않거나 수가 기준이 없는 자원의 경우 정보 파악이 제한적이다.
 
허 교수는 “코로나19 중증환자 및 병상이나 의료기기 등을 중수본과 질병청 국립중앙의료원, 지자체가 각각 파악해 코로나19 대응 의료진이 정보를 중복 입력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며 “굉장히 많은 의료진들이 매일 단순노동에 해당하는 정보 입력을 기계처럼 진행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코로나19 중증환자 정보를 입력하는 75개 병원의 담당자를 상대로 지난 3월 10일부터 4월 10일까지 한 달 동안 코로나19 환자 정보 입력의 문제점, 업무 지장 정도, 피로도, 개선사항 등에 관한 설문 조사를 진행한 결과, 의료진들은 각 기관의 중복 자료 요청에 고충을 호소했다.
 
자료입력방법은 별도 시스템을 활용한 입력이 84.6%로 가장 많았고, 엑셀 등을 활용한 수기입력, 전화응답, EMR 연동 등이 뒤이었다.
 
자료 입력에 있어 개선이 필요한 점은 개별 기관에서의 중복된 자료 요청이 53.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실시간 자료 요청(30.8%) ▲기준이 명확하지 않은 내용 요청(34.6%) ▲상세한 정보 요청(26.9%) 등이 뒤따랐다.
 
“가용-잔여 병상 혼동, 중증 환자 발생할 때 적시 대응 불가능”
 
감염병 위기 대응 필수보건의료자원 통합관리방안 부재로 중증환자 등에 대한 정의가 상이해서 나타나는 혼란도 있었다. 
 
허 교수는 “통합적 관리가 되지 않아 환자 20명 정도가 병상 배정 전 사망하자 중수본은 병상 배정 이전에 환자 중증도를 확인하고 배정하라고 명문화했다. 하지만 환자 중증도에 대응하는 병상의 진료 수준 및 실제 병상의 가용성에 대한 규정이 없어 의료자원에 체계적인 정보 수집은 불가능했고 기초적인 병상 점유 여부만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또한 가용 병상과 잔여 병상이 혼동되거나 병상이 제공할 수 있는 진료수준에 대한 정보가 없어 최중증 환자 발생에 적시에 대응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했다”며 “시스템을 활용한 보건의료자원의 적절한 분배와 통합 관리는 장기적인 감염병 재난 상황의 대응력을 갖추기 위한 첫 걸음”이라고 덧붙였다.

정영기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팀장은 "필수보건의료자원에 대한 정부 관리가 중요하다는데 공감하고 그런 방향으로 나갈 계획"이라며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정보를 갖고 있는 기관인 심평원의 역할이 굉장히 컸고 정부도 많은 의지를 했다"고 말했다.
 
이어 "감염병은 기존 지식으로 대응할 수 없기 때문에 정보가 매우 중요하다"며 "1년 6개월 동안 이례적으로 장기화되는 감염병을 겪으며 정부는 A~Z까지 학습하는 계기가 됐다. 향후 어떤 기관이 정보 수집 역할을 하게 될지 고민해보겠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