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암환자 3명 중 2명 '약(藥) 복용' 소홀"
서울성모 정미향·윤종찬 교수팀 "젊은 사람들일수록 고혈압 관리 더 부실"
2023.08.09 16:13 댓글쓰기



고혈압은 암환자와 암경험자들이 잘 관리하지 못하면 중증 심혈관질환으로 진행돼 사망까지 이르게 하는 주요 원인이지만, 고혈압을 동반한 암환자 3명 중 2명은 고혈압약 복용에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은 "순환기내과 정미향(공동제1저자)·이소영(공동제1저자)·윤종찬(교신저자)교수팀은 국내 암환자 3분의 2가 고혈압 약제를 잘 복용하지 않아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입원 치료와 사망률을 증가시킨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02~2013년 표본 코호트(NHIS-NSC)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해 항고혈압 약물을 처방받은 성인 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약물 처방 치료법이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환자의 치료 요법 순응도(adherence)는 약 복용 일수를 환자가 처방받은 총 일수로 나눈 비율(약물소지율; Medication Possession Ratio, MPR)로 정의 및 분류했다. 


환자들의 약물 소지율에 따라 좋은(약물 보유 비율 ≥ 0.8), 보통(0.5 ≤ 약물 보유 비율 < 0.8), 나쁜 (약물 보유 비율 < 0.5) 고혈압 약제 복약 순응도군으로 나눴다. 


주요 결과 지표는 전체 사망률과 심혈관 사망률이고, 부차적 결과 지표는 주요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입원이 필요한 심혈관 사건(Cardiovascular Events)이었다. 


그 결과, 고혈압을 가진 1만9246명의 암 환자 중, 66.4%가 고혈압 약제를 잘 복용하지 않고 있었다. 이 중 26.3%는 보통 복약순응도 군이고, 40.0%는 나쁜 복약순응도 군이었다.  


연령별로는 20-24세 환자 81.8%, 25-29세 환자 84.2%, 30-34세 환자 73.4%가 나쁜 복약순응도 그룹으로 조사돼, 젊은 암환자일수록 고혈압 약을 잘 먹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추적 기간인 8.4년 동안 2752명의 사망과 6057건의 심혈관 사건이 발생했다. 


복약 순응도가 좋은 군과 비교하여 보면, 보통과 나쁜 복약 순응도 그룹은 전체 사망률 대비 각각 1.85배, 2.19배, 그리고 심혈관 사망률 대비 각각 1.72배, 1.71배 높은 위험을 갖고 있었다.


또한 복약 순응도 보통과 나쁜 군은 새로운 심혈관 사건에 대해 각각 1.33배, 1.34배 증가했다. 이러한 경향은 심혈관 사건 하위 유형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났다.


정미향 교수는 “항암제 개발에 힘입어 많은 암환자들 생존기간이 늘어났지만 암 치료와 재발에 신경 쓰느라 고혈압 관리는 종종 소홀해지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어려운 암치료에 성공해도 고혈압 관리를 철저히 하지 않은면 입원치료가 필요한 심혈관질환까지 악화될 수 있으므로 암 환자들이 고혈압약 복용에 더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