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혈증·당뇨병 기인 '난청 발생' 가능성 제기
‘아토르바스타틴’ 청력 보호효과 확인···특허 등록·치료제 개발 기대
2020.11.06 05:14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임수민 기자] 난청 발병의 여러 가지 이유 중 고지혈증(이상지질증)과 제2형 당뇨(후천적으로 생긴 당뇨)로 인한 가능성이 제기됐다.

아주대병원은 이비인후과 정연훈 교수팀(이윤영 연구강사)과 아주대 의대 생리학교실 강엽 교수팀은 고지혈증과 제2형 당뇨로 생긴 난청 발생기전을 밝히고, 아울러 아토르바스타틴 약물이 청력을 어떻게 보호하는지 확인했다고 5일 발표했다.

과거에 흔히 노인성 질환으로 여겼던 난청은 현대사회에 수많은 환경소음, 과다한 이어폰 사용, 외상 등으로 인해 지금은 생활병으로 불릴 만큼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당뇨질환이 있으면 정상인에 비해 약 2배 이상 난청이 발생 가능성이 높고, 고지혈증의 중성지방 증가는 청각감소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위해 고지방·과당 식이를 통해 고지혈증(당뇨 포함) 동물모델을 제작한 후 청력을 측정했다. 

그 결과, 청력역치(주파수별로 들을 수 있는 가장 작은 소리의 크기)가 정상 일반식을 시행한 동물군에서는 16kHz에서 14.8±1.1dB, 32kHz에서 15.3±1.2dB 인데 반해, 고지혈증(당뇨) 동물모델에서는 16kHz에서 26.7±1.1dB 그리고 32kHz에서 23.2±1.1dB로 더 나빴다.

연구팀은 난청 동물모델의 귀 달팽이관 내 와우 조직을 분리해 형태학적·분자생물학적 분석을 한 결과, 청각유모세포, 청신경세포, 혈과조 세포에서 정상 조직에 비해 ‘활성산소’와 ‘산화스트레스’ 마커가 비정상적으로 증가됐음을 확인했다.

세포 생존과 항산화물질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AKT 단백질’이 비활성화되고, 항산화 단백질 중 특히 SOD2 감소로 인해 ‘내인성 세포사멸’이 증가해 세포소실이 일어나면서 결과적으로 ‘난청’이 발생했다.

또한 이렇게 만들어진 난청 동물모델에 아토르바스타틴 약물을 복강 내 4주간 투여 후 다시 청력을 측정한 결과, 청력 역치값이 16kHz에서 27.7±1.0dB 그리고 32kHz, 26.6 ± 1.0으로 거의 변화 없이 유지됐다.

반면 위약(가짜약) 투여군의 경우 청력 역치값이 16kHz에서 38.2±1.9dB 그리고 32kHz에서 37.5±3.1dB로 더 악화된 결과를 보였다. 

이는 고지방·과당 식이에 의해 발생하는 청력 감소를 아토르바스타틴 약물이 예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정연훈 교수는 “난청은 한번 생기면 회복이 힘들다”며 “이번 연구가 고지혈증과 제2형 당뇨로 인한 난청을 미리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근거자료인 동시에 노화성 난청 예방을 위한 근거자료가 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강엽 교수 또한 “이번 연구는 한국 사람들에게 매우 흔한 당뇨에서 일부 발생기전과 치료효과가 있는 물질을 확인한 것으로 앞으로 당뇨 치료제 개발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와 관련해 ‘아토르바스타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국내 특허등록을(10-1831947) 했으며, 현재 미국 특허 출원(16/488,881) 중이다.

이번 연구는 2020년 9월 국제학술지인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BBA, 바이오키미카 엣 바이오피지카 악타) Molecular Cell Research 온라인 판에 ‘Atorvastatin prevents hearing impairment in the presence of hyperlipidemia(아토르바스타틴에 의한 고지혈증매개 난청 예방기전 규명)’란 제목으로 게재됐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