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공공병원장 참석 연계 협력 모색 'CEO포럼' 개최
국립중앙의료원 오늘, 코로나19 시대 응급의료 안전망 구축 방안 등 논의
2020.11.05 17:51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임수민 기자] 국립중앙의료원(원장 정기현)이 오늘(5일) JW메리어트 동대문스퀘어에서 전국의 지역거점공공병원장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공공보건의료 선도기관으로서 지역거점공공병원 연계 협력 모색’을 주제로 CEO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CEO포럼은 감염병전담병원으로 역할을 수행한 지역거점공공병원의 대응 사례와 국립중앙의료원이 운영하고 있는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의 코로나19 환자에 대한 임상연구 결과를 토대로 근거 기반 대책을 수립하고 지역거점공공병원간 협력 체계를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주요 프로그램은 ▲코로나19 특성 및 장기화 대응 전략 ▲코로나19 시대 응급의료 안전망 구축 ▲코로나19 권역별 공동대응 협력체계 구축 방안 ▲중증환자 전담 간호인력 양성을 위한 협력방안에 대한 발표가 있었고, 이와 관련된 공공병원장들의 종합토론이 이어졌다.

코로나19 특성에 따른 대응 전략을 발표한 방지환 중앙감염병병원 운영센터장은 "환자 임상자료에 근거한 과학적 대응방안 수립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확진되기 전(前) 무증상 상황에서 전파력이 높은 코로나19 특성상 정부 방역대책은 적시성을 놓치지 않아야 한다”며 “노인 및 비만환자 등 고위험군에 대한 대책, 입퇴원 기준 등이 근거기반으로 전환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문성우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장은 코로나19 확진환자의 응급실 방문에 따른 응급실 폐쇄와 재개가 되풀이 된 상황을 되돌아보면서 응급실 내 격리 진료공간과 감염관리체계 정비 필요성을 주장했다.

주영수 국립중앙의료원 기조실장은 "사회적 거리두기 등 획일화된 통제 방안은 효과 대비 사회적 비용이 크다"면서 "집단발병 고위험 공간과 대상자들을 선별해 선제적으로 예방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원섭 공공보건의료교육훈련센터장은 사망자 최소화를 위해 중환자 수용과 치료역량이 무엇보다 시급히 요구되는 상황에서 보건복지부와 함께 운영하고 있는 ‘중증환자 전담 간호사 양성을 위한 교육훈련’을 소개하며, 연내 400명 이상의 중증환자 전담간호사 교육훈련이 진행될 것임을 소개했다.

국립중앙의료원 정기현 원장은 “2015년 메르스 사태를 경험하며 공공병원 중심의 공중보건위기 대응력 향상이 절실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공공보건의료체계 확충은 미흡한 실정”이라며 “국립중앙의료원은 중앙감염병병원으로서 고위험군 환자 발생을 억제하고 중환자 중심 치료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지역거점공공병원과 지속적인 협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