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과 없어 타병원 재이송 응급환자 매년 증가
더민주 기동민 의원 '해당 의료기관 거부 등 경기도·서울 많아'
2016.09.26 12:15 댓글쓰기

119구급대를 통해 병원에 도착한 응급환자가 해당 병원의 거부로 다른 병원으로 재이송되는 사례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기동민 위원이 보건복지부, 국민안전처 등에서 제출 받은 ‘119구급차 재이송현황’등을 분석한 결과 2013년 119구급대 병원 재이송 현황은 8021건이었다. 
 

 

2014년 1만2510건, 2015년에는 1만9544건으로 최근 3년간 144%가 증가한 것이다. 2016년 상반기 역시 5277건의 재이송이 발생해 최근 3년간 무려 4만5352명의 환자가 첫 번째 병원에서 진료거부를 당했다. 
 

병원의 거부 사유는 다양했는데 전문의 부재가 1만537건(23.2%)으로 가장 많았고, 진료과 없음이 6069건(13.4%)으로 뒤를 이었다.
 

또한 병상부족이 3922건(8.6%) 이었고, 의료장비 고장으로 인해 재이송한 횟수도 774건(1.6%)이었다.
 

특히 진료과 없음을 이유로 재이송한 횟수는 2013년 1197건에서 2015년 2195건으로 81.4%가 증가했으며 전문의 부재 역시 2013년 2043건에서 2015년 3645건으로 78.4% 늘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1만2734건(28.1%)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이 8276건(18.2%)으로 뒤를 이었다.
 

충북이 2013년 172건에서 2015년 777건으로 351%, 인천이 176건에서 736건으로 318% 증가했다.
 

상대적으로 응급의료기관이 많은 서울과 경기에서 재이송 횟수가 많았다는 사실은 현행 응급의료체계의 문제점을 다시 살펴봐야 한다는 지적이다.
 

기동민 의원은 “응급의료이송정보망을 보건복지부 차원에서 재구축해 응급환자들이 골든타임을 헛되이 보내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보건복지부와 일선 응급병원은 국민 생명과 건강을 책임진다는 사명감을 갖고 응급의료체계 효율화, 응급실 당직의사 처우 개선 및 응급장비 구비, 평가지표 개선 등 다양한 노력을 함께 기울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