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박대진 기자]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심리적 저지선’인 1000명을 넘어서면서 방역당국의 미온적 대처에 대한 비난이 커지고 있다.
무엇보다 그동안 수 차례에 걸친 전문가들의 경고와 조언을 받아들이지 않은 결과라는 점에서 정부의 불통이 다시금 도마 위에 오르는 모습이다.
13일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1030명을 기록했다. 1000명을 넘은 것은 국내에서 첫 확진자가 나온 지난 1월 20일 이후 328일 만에 처음이다.
지난 2∼3월 대구·경북 중심의 ‘1차 대유행’, 8∼9월 ‘2차 유행’의 고비가 있었지만, 지금까지 1000명을 넘은 적은 없었다.
이번 '3차 대유행'도 초반에는 확산세가 이렇게까지 가파르지는 않았다. 지난달 10일까지만 해도 하루 신규 확진자 수가 100명 안팎을 유지해 비교적 안정적이었다.
하지만 이후부터 급격한 우상향 곡선을 그리면서 지난달 26일 500명을 넘어섰고, 이달 들어서도 꾸준히 500∼600명대를 오가다가 전날 900명대로 치솟은 뒤 이날 1030명을 기록했다.
정부의 안일한 판단으로 '골든타임' 놓쳐
주목해야 할 부분은 이러한 상황이 이미 예견됐다는 점이다. 전문가 단체들은 1000명 이상의 확진자 발생 가능성을 우려하며 강도 높은 대처가 필요하다고 경고했다.
대한의사협회는 지난 1일 정부에 일시적인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격상을 제안했다. 당시는 확진자 수가 400~500명 대를 유지하고 있었다.
의협은 특히 확진자 수를 줄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미 감염된 환자에 대한 관리도 중요함을 강조했다.
중증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병상을 확충하고 경증·무증상 환자에 대한 관리체계를 수립해야 한다는 조언이었다. 그 일환으로 코로나 전담병원 지정과 인력인력 확보 필요성을 언급했다.
대한감염학회 역시 지난 달 20일 성명문을 통해 심상찮은 코로나19 상황을 대비한 사회적 거리두기 격상 등 방역의 고삐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당시 감염학회는 300명대를 기록하고 있는 확진자 발생 상황이 더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효과적인 조치가 없다면 확진자는 1000명에 육박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전문가들의 예상은 적중했다. 특히 당시 학회는 고위험군 피해 위험이 높아지고 중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자원이 빠르게 고갈되고 있다고 경고했고, 현실이 돼 버렸다.
현재 요양병원에서 확진자 발생이 잇따르고 있고 전 지역이 병상 부족을 호소 중이다. 의료체계 붕괴 얘기까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코로나19 ‘3차 대유행 중심지인 수도권에서 580명이 병상을 배정받지 못해 자택에서 대기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수도권에는 중환자가 즉시 입원할 수 있는 병상이 13개 남아 있다.
580명 중 306명은 전날 확진을 받아 대기 중인 환자들이고 218명은 확진을 받은 지 하루가 지난 대기자들이다.
'경제'+'방역' 두마리 토끼 잡을려다가 모두 '실패'
무엇보다 이들은 의학계 및 전문가 단체들과 보다 긴밀한 논의 구조 필요성을 언급했지만 정부를 이를 귀담아 듣지 않았다.
실제 의협은 “전문가 단체와의 협치가 간절하다”며 “현장과 전문가의 의견이 존중되는 의사결정 구조를 확보하고 보다 효과적이고 실현 가능한 전략이 수립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감염학회 역시 “방역 조치는 조기에 선제적으로 강력하게 이뤄져야 한다”며 “학계, 전문가와 보다 긴밀한 논의 구조를 갖고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정부는 '경제'와 '방역'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으려다가 제때 거리두기를 충분히 격상하지 못했고 작금의 상황에 놓이게 됐다.
2차 유행이 완전히 잡히기도 전에 거리두기를 최저 단계인 1단계로 내렸고, 또 3차 대유행이 본격화한 지난달 확진자 급증 기미가 보였음에도 한 발 늦은 격상 조치를 내렸다.
의료계 한 인사는 “방역당국이 학계, 전문가와 긴밀하게 논의했다면 지금 상황까지 이어지지 않았을 것”이라며 “지금부터라도 전문가들 조언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