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의료원이 연구중심병원에 이어 정밀의료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무엇보다 두 사업 모두 국가 주도라는 점에서 연구력에 대한 신뢰도 제고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5일 고려대학교 의학연구원에 정밀의료 사업단 사무국을 개소한다고 밝혔다.
정밀의료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동으로 추진하며, 예비타당성조사를 거쳐 향후 5년간 국비 631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평가결과 ‘암 정밀 진단치료법 개발 사업단’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단장 김열홍 교수), ‘정밀의료 병원정보시스템 개발 사업단’은 고려대학교의료원(단장 이상헌 교수)이 선정됐다.
사업단은 향후 5년간 △난치암 환자 유전변이에 맞춘 표적치료제 개발(국비 430억) △환자 맞춤형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 정밀의료 병원정보시스템 개발(국비 201억)을 추진한다.
‘암 정밀 진단·치료법 개발 사업단’은 난치암 환자 1만명의 유전정보를 분석, 그중 표적치료제 적용이 가능한 약 2000명에게 개인맞춤 치료를 적용하고, 3건의 표적치료제 개발에 나선다.
매년 약 8만명의 암환자가 적절한 치료법을 찾지 못해 사망하고 있으며, 암종별 표적치료제 개발이 성공할 경우 최소 15%, 최대 40%의 환자가 생명을 연장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발생률이 높고, 생존율이 낮으며, 전이발생율이 높은 폐암, 위암, 대장암의 경우, 연간 5000 ~ 1만3000명이 유전변이를 표적으로 한 치료로 혜택을 볼 전망이다.
참여 병원 및 연구자 모집은 국내 최고의 암 전문가 연구자 네트워크인 ‘대한항암요법연구회’를 통해 이뤄지며, 美 국립암센터 항암 임상시험, 美암연구학회 등과도 협력할 예정이다.
사업단에는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대학교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아산병원, 건국대학교병원, 전북대학교병원, 경북대학교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가천대길병원, 분당차병원 등 연구중심병원과 임상시험글로벌선도센터가 주도적 참여한다.
임상시험에는 새로 개발되는 항암제뿐 아니라 이미 허가된 표적치료제의 적용 질환 확대 등 다양한 접근을 시도해 신약에 대한 우리나라 암환자의 접근성을 최대한 향상시키고자 한다.
김열홍 사업단장은 “암은 국민건강에 미치는 영향만큼 기대효과 역시 가장 큰 분야이므로, 국민과 국가에 공헌·봉사하겠다는 자세로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의지를 밝혔다.
정밀의료 병원정보시스템 개발 사업단은 의료기관의 진료, 진료지원, 원무 등 주요 기능을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로 개발해 다양한 의료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보급할 계획이다.
클라우드 기반으로 시스템을 구축할 경우 환자는 개인 진료정보를 공간적 제한없이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고, 의사는 진료 시 환자의 건강정보를 다각적으로 검토해 개인맞춤 진료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 사업에는 고려대학교의료원, 삼성서울병원, 아주대의료원, 연세세브란스병원, 가천대길병원, 삼성SDS, 크로센트 등 SW·클라우드 전문기업 참여할 예정이다.
이상헌 사업단장은 “지방·중소병원의 낙후된 병원정보시스템을 대체하고, 개인의료정보 유출 우려를 해소 하는 등 정밀의료 시스템의 활용도는 매우 높을 것”이라고 말했다.
보건복지부 권덕철 차관은 “정밀의료 사업단이 한국의료의 미래를 바꾸게 될 도약의 구심점이 될 것”며 “미래 정밀의료 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