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임수민 기자] 삼성서울병원이 운영 중인 응급의료헬기와 구급차인 ‘이동형 중환자실’이 실제 병원 중환자실과 동일한 수준의 치료환경을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서울병원 심장외과 조양현 교수팀이 지난 2014년 1월부터 2016년 8월 사이 체외생명보조장치를 단 채 응급의료헬기 또는 구급차로 이송된 환자들을 분석한 결과다.
이 기간 동안 체외생명보조장치를 유지 중인 환자 46명이 다른 의료기관에서 삼성서울병원으로 이송해 왔는데 이동거리는 하늘과 땅을 포함해 약 1만km였으며, 이송 작전에 소요된 시간은 총 60시간이었다.
'체외생명보조장치'란 환자의 심폐기능을 대신하는 장치로, 환자들은 장치에 의지해 간신히 생명을 붙들고 있기 때문에 이런 경우 전문적인 경험을 가진 의료진과 시설을 확보한 상급병원으로 환자를 전원해야 한다.
하지만 이런 환자를 옮기는 것 자체가 위험해 환자를 보내야 하는 병원이나 받아야 하는 병원 모두 부담이 큰 탓에 성사되기 쉽지 않다.
연구팀은 이들 중 삼성서울병원 중환자실에서 체외생명유지장치로 치료받고 있던 입원환자(148명)와 나이와 성별, 질병력 등 조건이 맞는 이송환자 44명을 추려 두 그룹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체외생명보조장치를 단 환자들의 치료 성공 여부를 가늠하는 생존퇴원율이 기존 병원 환자 그룹(64.2%)과 이송 환자 그룹(63.6%)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는 것을 밝혀냈다.
다만, 체외생명보조장치로 인한 부작용으로 하지 허혈과 그에 따른 절단, 급성신손상과 같은 합병증은 이송 그룹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구팀 관계자는 “이러한 결과는 삼성서울병원이 각 분야 전문가들로 꾸린 이송팀과 중증치료센터 구성원들의 탁월함 덕분”이라고 말했다.
삼성서울병원 전문 이송팀은 중환자 이송 의뢰가 있을 시 우선 다학제 회의를 열어 환자 상태를 평가, 이송 방법을 결정하는데 심각한 신경학적 손상이 있거나 침대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가 아니라면 대개 이송을 진행한다.
이송팀에는 응급의학과 전문의, 심장외과 전문의, 중환자의학과 전문의, 간호사, 체외순환사 등이 속해 있다.
이송팀은 이송 중 주로 발생하기 쉬운 기기 오작동으로 환자 상태가 악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매번 출동 때마다 여분의 장비를 구비하고, 실제 작동하는지 거듭 확인한다.
환자 이송 수단으로는 가능한 빠른 시간 내 환자가 있는 곳에 도달하고자 삼성서울병원에서 자체 운용하고 있는 헬기를 주로 이용한다.
이번 연구에서도 이송 환자 46명 중 30명(65.2%)이 헬기를 이용해 삼성서울병원으로 전원 됐다. 헬기 착륙 지점이 마땅치 않거나 기상 조건 등 헬기 운항이 어려울 때는 전용 구급차를 이용한다.
조양현 교수는 “상태가 위중한 환자를 살리기 위해 상급병원 전원이 필수지만 이송 자체가 부담돼 주저하는 경우가 많다”며 “하지만 충분한 시스템을 갖춘 기관이라면 더 많은 환자를 살릴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유럽흉부외과학회지(European Journal of Cardio-Thoracic Surgery) 최근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