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기능 떨어졌어도 치매검사 안받는 노인 '12%'
보사연 '건강검진에서 추가 진단 받았지만 실제 30~40% 불과'
2019.02.26 11:41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박근빈 기자] 전체 노인의 58%는 최근 2년 내 치매검진을 받지 않았다. 인지기능이 저하됐는데도 검사를 받지 않은 노인 역시 12%나 됐다.
 

26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간한 ‘치매노인과 돌봄 제공자를 위한 맞춤형 정책방안 모색’ 연구에서는 치매 사각지대에 놓인 현실이 극명하게 드러났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2017년 노인실태조사에 참여한 65세 이상 1만298명 중 58.4%인 6023명이 최근 2년 내 치매검진을 받지 않았다. 이 가운데는 인지기능이 예전보다 떨어져 조기발견이 필요한 고위험군이 포함됐다. 


특히 인지기능이 저하됐는데 지난 2년 내 치매검진을 안 받은 비율이 12.3%(1263명)였다. 검진을 받지 않은 나머지 4760명(46.2%)은 인지기능이 정상이었다.


인지저하를 겪은 노인 가운데 검진을 받은 경우는 8.5%(874명)에 불과했으며 33.0%(3401명)는 인지기능이 저하되지 않았고 치매검진도 받았다.


건강검진에서 정확한 판단을 위해 추가 검진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받았지만 실제 검진 비율은 30~40% 정도에 불과했다.


치매 사각지대는 지역별 편차가 크다는 사실도 드러났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치매센터가 발행한 ‘대한민국 치매현황 2017’ 통계자료에는 65세 이상 치매 추정 환자 중 의료기관에서 치매로 진단받은 비율인 치매진단율은 전국 229개 시군구 평균 92.3%였다. 그러나 최소 55.7%에서 최대 155.8%까지 지역별 격차가 컸다. 


치매진단율이 77.1% 미만으로 저조한 시군구가 47곳이나 됐다. 반대로 117.6%로 과도하게 높은 곳도 17곳이었는데 이는 치매 진단 자체가 부정확하거나 비효율적인 진료 및 치료가 이뤄지고 있다는 뜻이다. 


보사연은 “여러 치매관리정책이 시행된 지 오래되지 않았기 때문에 시행착오를 경험하며 안착하는 데까지 일정 기간이 필요한 것은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지역 치매 관련 인력에 대한 교육과 교육받은 인력을 확보하기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농어촌 지역의 경우는 치매 전문 진료 경험이 부족한 의료진이 관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의료진을 대상으로 하는 조기 검진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대응력을 향상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