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시도자, 응급실 관리 후 위험 60% 감소"
복지부, '사례관리 전담인력 배치' 10년 사후관리사업 결과 발표
2023.08.31 12:01 댓글쓰기



사진제공 연합뉴스

자살시도자에 대한 의료기관 응급실의 적극적인 초기 개입과 서비스 제공이 자살위험 감소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응급실에서의 사례관리 서비스 완료시 전반적 자살위험도 비율이 약 60% 감소했다. 우울감, 불안 및 초조, 충동성 등의 자살위험요인이 크게 줄어든 덕분이다.


31일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이사장 황태연)은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2022년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 결과를 발표했다.


자살시도자의 자살위험은 일반인 대비 약 25배 이상으로, 자살 재시도 예방을 위한 각별한 관리가 필요하다. 


2013년부터 시행한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을 통해 정부는 병원 응급실에 정신건강전문요원 등 사례관리 전담인력을 배치토록 했다.


응급의학과-정신건강의학과-사례관리팀이 협업, 내원 자살시도자에게 적절한 치료와 상담을 제공한다. 지역 정신건강복지센터로 연계해 자살 재시도를 예방한다.


보건당국은 자살위험을 포함한 정신건강상태를 평가, 자살시도자가 지닌 복합 문제에 대응해 상담, 치료비 지원, 지역사회 연계 등 자살시도자 사례관리(case management)는 맞춤 서비스 제공하고 있다.


2022년 사업을 수행한 총 80개 병원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2만6538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여성 65.2%(1만7294명), 남성 34.8%(9244명)로 여성 자살시도자가 남성보다 약 2배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20대가 27.9%(7400명), 10대 16.5%(4368명), 30대 13.6%(3607명) 순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자살시도자의 10명 중 9명은 충동적이었다. 성·연령대별로는 충동성에 큰 차이가 없었다. 자살 시도를 암시하거나 주변에 도움을 요청한 자살시도자는 절반 이상(56.0%)이었다. 


자살시도 동기는 ▲‘정신적 문제’(38.1%)가 가장 높았다. 이어 ▲‘대인관계’(18.9%), ▲‘말다툼 등’(10.3%), ▲‘경제적 문제’(6.6%) 순으로 집계됐다. 


지난 10년간 ‘학교, 직장관련’ 동기는 소폭 증가(5.3%⟶6.6%)했으며 ‘정신장애’ 비율은 꾸준히 늘었다(23.4%⟶38.1%). 반면 ‘대인관계’(26.3%⟶18.9%)와 ‘말다툼’(16.2%⟶10.3%)은 감소 추세다.


방법은 ▲‘약물음독’(56.0%), ▲‘둔기/예기’(20.1%), ▲‘농약음독’(6.0%), ▲‘가스중독’(5.3%) 순이었다.


사례관리 서비스를 완료한 1만1321명을 대상으로 서비스 효과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 자살위험도가 높은 사람의 비율이 약 60% 감소(15.6%→6.5%)했다. 


이는 우울감(18.8%p↓), 불안/초조(10.0%p↓), 자살사고(11.4%p↓), 충동성(12.0%p↓) 등의 자살위험요인이 감소한 것이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 10년간 사업을 수행한 결과, 수행병원은 초기(25개소)에 비해 3배 이상(80개소) 증가했다. 


지역별 자살시도자 분포와 의료기관 접근성을 고려, 수행병원을 확대해 현재 센터급 이상 응급의료기관 48%가 참여했다.


내원자 수는 사업 초기에 비해 15배 이상 증가(1721명⟶2만6538명)했다. 특히 여성 내원자 비율은 약 8.3%p 증가(56.9%⟶65.2%)했다. 


사례관리 서비스를 완료한 자살시도자 수는 10년 전에 비해 약 33배 증가(341명⟶ 1만1321명)했다. 같은 기간 지역사회로 연계되어 지속적으로 관리받는 자살시도자도 비슷한 수준으로 늘었다.


곽숙영 복지부 정신건강정책관은 “이번 결과를 통해 응급실에서의 적극적인 초기 개입과 서비스 제공이 자살위험 감소에 효과적임을 확인했다”면서 “10년간 사업 성과를 토대로 응급실에서 적절한 치료와 상담을 바탕으로 생명안전망 역할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