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땀·침으로 '치매 조기진단' 가능해질 듯
경상대 김명옥 교수팀, 초기 잠복상태 판별하는 진단키트 개발
2019.09.17 05:11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박성은 기자] 국내 연구팀이 혈액이나 땀, 침 한 방울로 조기에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진단하는 키트를 개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는 경상대학교 김명옥 교수 연구팀이 혈액, 땀, 침 등에 있는 바이오마커를 검출해 초기 잠복 상태까지 판별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진단키트를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진단키트 관련 연구 결과는 Nature 자매지인 온라인학술지 ‘Scientific Reports’에 12일 게재됐다.
 
치매의 70%이상을 차지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는 통상적으로 PET(양전자 방출 단층촬영)나 인지능력검사 등을 통해 진단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치매가 어느 정도 진행된 이후에야 비로소 식별이 가능하고, 고가의 비용이 들며, 치매 진행정도를 계량화된 지표보다는 정성적으로 표현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다.
 
김명옥 교수 연구팀은 치매 증세가 나타나기 이전에 진단해 치매예방 및 치료를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혈액이나 땀, 침과 같은 간단한 분비물을 시료로 초기 잠복상태의 치매까지 판별해 내는 조기진단키트를 개발했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각 개인별 맞춤 진단이 가능토록 miRNA 8종 및 항체 13종, 총 21종의 바이오마커를 개발해 치매진단 정확도를 높였다.
 
연구팀은 “새로 개발된 치매 조기진단키트는 민간 기업에 이전돼 올해 말 제품화를 목표로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등록한 특허 기술과 민간기업에 이전된 기술에 적용된 임상데이터와 연구방법론이 이번 논문 게재를 통해 국제적으로 인정받아 향후 이 같은 연구 방법론을 근간으로 하는 실용화와 상용화가 보다 더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를 이끈 김명옥 교수는 "치매의 경우 치료 성격의 정밀의료와 병행해서 조기진단을 바탕으로 선제적인 예방이 강조되는 정밀건강 측면에서도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며 “향후에는 다중오믹스를 활용한 치매극복 연구에 매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등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