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췌장염, ‘칼슘 신호 조절’ 치료법 제시
연세대 치대-美 국립보건원, ‘SARAF’ 단백질 역할 규명
2019.09.29 14:22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박근빈 기자] 급성 췌장염 진행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칼슘 이온 통로 개폐조절 단백질(SARAF)의 역할이 학계에 보고됐다.


29일 한국연구재단에 따르면 연세대 치대 신동민 교수팀은 미국 국립보건원과 함께 단백질 'SARAF'를 연구한 결과를 국제 학술지 '가스트로엔테오로지'(Gastroenterology)에 발표했다.


급성 췌장염은 소화효소가 소장으로 분비되기 전 췌장에서 분비할 때 나타나는 염증 반응이다. 쓸갯돌(담석)이나 과도한 알코올 섭취로 췌장 샘 꽈리 세포가 파괴되면 발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칼슘 이온이 통로를 통해 췌장 샘 꽈리 세포 안으로 과도하게 들어올 경우, 칼슘 자체 독성 때문에 세포가 죽는다.



연구팀은 바로 이 칼슘 이온 통로 개폐조절 단백질(SARAF)에 주목했다.
 

다양한 실험과 분석 결과 급성 췌장염에서 조직 손상을 막는 이 단백질이 분해돼 사라지는 것을 확인했다.


샘 꽈리 세포에서 이 단백질이 분해되지 않도록 하거나 다시 보충해줄 수 있다면 췌장염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칼슘 이온 통로 개폐조절 단백질이 만들어지지 않는 생쥐에 급성 췌장염을 유도한 결과 췌장염이 더 심각하게 진행됐다. 정상 생쥐보다 췌장 부종과 혈액 내 아밀라아제양이 증가함을 확인했다.


이와 관련 신동민 교수는 "칼슘 신호 조절로 췌장염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는 실마리를 제시한 것이다. 치료제가 미비했던 췌장염을 정복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