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처럼 만성질환으로의 질병 구조 변화가 급격히 이뤄짐에 따라 1차적 조치인 예방‧관리의 중요성 역시 점점 커지고 있다.
중앙만성질환 예방관리 사업지원단이 주관하고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가 주최하는 ‘제1차 만성질환 관리포럼’에서 이러한 주장은 더욱 힘을 얻었다 .
포럼은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함에 따라 관련 학계, 정부, 의료계가 모여 만성질환에 대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관리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다.
이순희 복지부 건강정책과장[사진]은 발표를 통해 만성질환으로의 질병구조 변화와 이에 따른 국가적 부담을 소개하며 정부의 만성질환 예방‧관리 노력에 대해 소개했다.
이 과장에 따르면 1990년도와 비교했을 때 2010년도 기준 각종 전염병, B형 감염 등은 감소한 반면, 암과 심‧뇌혈관 질환, 고혈압, 고지혈증 등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0년 10대 사망원인 중 7개가 만성질환과 관련된 것이었고, 뇌혈관질환(2위), 심장질환(3위), 당뇨병(5위)으로 인한 사망자가 전체 24%를 차지했다.
만성질환은 오랜 시간에 걸쳐 발생하고 증세가 장기간 지속되는 특성이 있어 그 부담도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한 예로 고혈압의 경우 2010년 총진료비는 2002년에 비해 3배 가까이 증가했고, 당뇨병의 경우 2.6배 증가했다.[표]
또한 평생 치료‧투약이 필요한 만성질환의 특성은 인구고령화와 맞물려 의료비 증가를 가속화 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2002년 20%였던 65세 이상 노인진료비는 2011년 33%에 달했다. 노인 진료비 역시 월 9만원에서 24만7166원으로 껑충 뛰었다.
이에 정부는 ‘제3차 건강증진종합계획’을 세워 건강수명 연장과 건강형평성 제고를 목표로 위험요인을 분석해 개선을 위해 여러 정책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 정부가 꼽은 위험요인은 흡연, 알코올, 운동 부족, 건강하지 못한 식습관, 과체중과 비만 등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복지부는 대표적으로 ▲금연, 절주 등 건강생활 실천 향상 ▲암, 건강검진 등 만성퇴행성질환과 발병위험요인 관리 ▲예방접종 등 감염질환관리 ▲식품정책 등 안전환경보전 ▲모성건강 등 연구집단 건강관리 등 여러 정책을 진행 중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흡연자 보호를 위한 공중이용시설 전면금연 추진, 주류가격에 대한 적절한 가격규제 정책 추진, 신체활동 표준 지침 및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과 보급, 나트륨‧당분 등 위해가능 영양성분 섭취 억제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 과장은 “언급한 위험 요인을 다 해결하지는 못한다. 국민이 조금이나마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정책이다”라고 소개했다.
이어 “이는 정부의 노력만으로 이뤄지지 않는다. 학계, 의료계, 또 관련 사업자들이 도와주면 조금 더 효율적일 것 같다”며 협조를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