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이어 심부전까지 치료영역 확대 '자디앙'
'심박출률 감소 등 적응증 추가, 일관된 유효성·안전성 확인'
2021.12.10 15:12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백성주 기자] 심박출률 감소 심부전 환자의 새로운 치료옵션으로 자리잡은 자디앙의 임상적 가치와 치료 혜택이 조명되는 시간이 마련됐다.
 

한국베링거인겔하임(대표이사 마틴 커콜)과 한국릴리(대표이사 알베르토 리바)는 10일 자디앙(엠파글리플로진)의 만성 심부전 적응증 확대 기념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자디앙은 EMPA-REG OUTCOME 임상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SGLT2 억제제가 당뇨병에서 심부전으로 치료영역을 넓히는데 핵심적 역할을 했다.


지난달 23일 자디앙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좌심실 수축기능이 저하된 만성 심부전 환자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적응증을 추가로 승인받았다.


자디앙의 임상적 유용성과 안전성에 대해 공유한 이번 기자간담회는 대한심부전학회 회장 최동주 교수(분당서울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가 좌장을 맡았다.


김응주 교수(고려대학교구로병원 심혈관센터)와 최성훈 교수(한림대학교강남성심병원 순환기내과)가 연자로 나서 EMPEROR-Reduced 임상연구 결과를 토대로 발표를 가졌다.


전세계적으로 심부전 유병률과 이로 인한 입원율은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다. 심부전은 현재 확립된 치료 기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심부전 환자의 5년 생존율은 75% 미만으로 미충족 수요가 높다.


오프닝 세션을 맡은 최동주 교수는 심박출률 감소 심부전의 세 가지 주요 치료 목표로 ▲사망률 감소 ▲질환악화로 인한 재입원 방지 ▲삶의 질 개선으로 꼽으며 최적화된 치료의 중요성을 제시했다. 


최 교수는 ”SGLT2 억제제가 심부전 환자에서 유의한 임상결과를 발표함에 따라 올해 5년만에 개정된 유럽심장학회(ESC) 심부전 치료 가이드라인은 자디앙과 다파글리플로진을 제시하며 SGLT2억제제를 권고 수준 1등급으로 제시하고 있다”면서 현장에서ㅇ 자디앙이 가져올 변화에 기대감을 전했다.


자디앙은 EMPA-REG OUTCOME 임상연구를 통해 최초로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심혈관계 사망 감소를 확인했다. 뿐만 아니라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 감소, 신장질환 발생 위험 감소 등 일관된 심혈관계 혜택을 보여줬다.


김응주 교수는 “SGLT2 억제제가 당뇨병에서 심부전 치료제로 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면서 자디앙의 심부전 심부전 랜드마크 임상연구인 EMPEROR-Reduced 임상연구의 주요 결과를 소개했다.


당뇨병 동반 여부와 관계없이 심박출률이 감소된 심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임상연구에서 자디앙은 심혈관계 사망 또는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의 복합 상대적 위험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25% 감소시키며 1차 평가지표를 충족했다.


또한 자디앙은 심부전으로 인한 처음 또는 반복적인 입원 위험을 30% 감소시켰으며, 신기능 저하 지표인 사구체 여과율(eGFR) 감소도 위약군 대비 자디앙 투여군에서 더욱 지연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해당 연구는 한국인을 포함 실제 심부전 환자의 임상 환경을 최적으로 반영했다. 이를 통해 국내외 여러 학회 가이드라인에서 심부전 관리를 위한 우선 약제 중 하나로 자디앙을 권고하고 있다.


마지막 발표를 맡은 최성훈 교수는 “자디앙은 당뇨병 및 만성신장질환 동반 여부, 기존 심부전 약제 사용 여부와 관계없이 다양한 임상적 특징을 가진 심박출률 감소 심부전 환자에서 일관적인 유효성과 안전성 프로파일을 보였다”고 의미를 전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