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형 당뇨 원인 '엔도트로핀' 억제 유전물질 발견
울산과학기술원 박지영 교수팀 '염증성·섬유화 질환 치료도 적용 가능'
2022.03.08 05:10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양보혜 기자]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비만형 당뇨의 원인인 엔도트로핀 분비를 억제할 수 있는 유전물질을 찾아냈다고 7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생명과학과 박지영 교수 연구팀은 '마이크로리보핵산-29'(miRNA-29)라는 유전 물질이 엔도트로핀 분비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엔도트로핀은 세포를 둘러싼 제6형 콜라겐에서 잘려져 나온 신호 전달 물질이다. 지방세포 주변 환경을 변화해 염증을 일으키고, 조직을 섬유화해 인슐린 저항성을 높여 당뇨를 악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 교수는 2012년 처음 발견했다. 이번 연구에선 일반인과 비만인 지방 조직을 대조 분석해 엔도트로핀을 분리해내는 단백 분해 효소를 찾아내고, miRNA-29로 이 단백 분해 효소 합성 자체를 억제할 수 있음을 알아냈다.
 
또 HIF1a 단백질이 단백 분해 효소와 제6형 콜라겐 합성을 촉진해 엔도트로핀 분비를 증가시킨다는 사실도 처음 확인했다. HIF1a는 암처럼 세포가 과다 증식해 산소가 부족한 환경일 때 합성되는 전사 인자 단백질이다.
 
연구팀은 miRNA-29를 고지방식을 먹여 살찌운 쥐의 지방 조직에 투여하자 대조군 쥐에 비해 세포 염증, 섬유화, 인슐린 저항성이 크게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지방 조직에서 HIF1a 단백질을 합성하지 못하도록 유전자 변형된 쥐에서 그 효과가 더 뚜렷히 나타났다.
 
박 교수는 "HIF1a 억제제를 miRNA-29와 병용 투여하면 세포 독성은 억제하고,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며 "이 같은 전략은 비만 연관 당뇨 치료뿐만 아니라 엔도트로핀의 생성이 많이 증가한 상태인 간 섬유화, 간암, 유방암 등 다양한 염증성, 섬유화 질환 치료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 교수팀은 이 결과를 바탕으로 엔도트로핀 생성을 원천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신약 개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당뇨병의 생리학, 병태생리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당뇨(Diabetes)지에 지난달 15일 온라인판에 공개됐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