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의대, 혈관 협착 조기 발견 나노입자 개발
성학준∙유승은 교수팀, 당뇨·고지혈증 등 고위험군 질환 예방 기대
2021.12.27 10:41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고재우 기자] CT 검사에서 혈관 협착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나노 입자가 개발됐다.
 
연세대 의과대학은 성학준∙유승은 의학공학교실 교수, 정세용 강사 등 연구팀이 CT 검사의 혈류 이상 발견을 돕고 치료 효과까지 가지는 물질을 만들었다고 27일 밝혔다.
 
연구팀은 리포솜 물질을 활용해 혈류 장애가 일어난 혈관 부위에서 강한 신호를 나타내는 진단용 나노 입자를 새로 만들었다. 리포솜은 혈관 부위에 조영제 성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도달시키기 위한 성분이다.
 
이번 진단용 나노 입자는 리포솜 표면에 이상 혈류 타게팅 펩타이드를 붙여서 혈관 협착 부위에서 많이 발견되는 단백질 ‘CDK9’를 표적으로 한다.
 
연구팀은 진단 물질을 동물 모델에 적용했다. 혈관 협착을 유도한 실험용 마우스, 토끼 모델에 진단용 나노 입자를 추가한 조영제를 투여한 후에 CT 검사를 실시했다.
 
이상 부위에서는 강한 신호를 확인할 수 있었다. 2~6주에 거쳐 추적 관찰한 결과 신호가 강했던 부위의 혈관 상태는 악화됐다. 정상 부위에 비해 113.9%의 세기를 보였던 곳은 42일까지 혈관 개통을 유지했지만 228.6%의 세기를 보였던 곳은 14일 안에 혈관이 급격히 폐쇄됐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나노 입자의 혈관 협착 치료 효과도 확인했다. 진단용 나노 입자를 투여한 경우 혈관 협착률은 약 44%로 증상이 개선됐다. 이는 줄기세포 유래 이상 혈류 치료용 물질에 혈류 타게팅 펩타이드를 부착해 만든 치료용 나노 입자의 치료 효과에 뒤지지 않은 수치다.
 
치료용 나노 입자를 투여한 마우스의 혈관 협착률은 약 40% 수준이었고 미치료 마우스는 약 87%였다. 진단∙치료용 나노 입자를 투여한 마우스는 혈관 외에 간 등의 장기에서 항염증∙지질 강하 효과도 보였다.
 
성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나노 입자는 협착 등 혈관 이상을 파악할 수 있는 진단 시기를 획기적으로 앞당겨 당뇨병, 고지혈증 환자와 가족력이 있는 고위험군에서 질병 진행을 사전에 막을 수 있는 검사 물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소재 분야 유명 저널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터리얼즈(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IF 18.808) 최신호에 게재됐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