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이식 환자도 '위암 수술·항암 치료' 가능
연세암병원 김형일 교수·원주세브란스 김덕기 교수팀, 장기 합병증 등 분석
2021.10.18 09:40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고재우 기자] 장기이식을 받은 환자들도 면역억제제를 복용한 상태에서 위암수술 및 치료가 가능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연세암병원 김형일 위장관외과 교수와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이식외과 김덕기 이식외과 교수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이식수술 후 위암수술을 받은 환자 41명과 성별, 나이 등의 경향이 비슷한 205명의 일반 위암환자 수술 성적을 분석했다.
 
연구결과, 위절제술 후 30일 이내 단기 합병증 총비율은 이식환자들이 22.0%, 대조군인 일반 환자들이 20.0%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중증합병증은 오히려 이식환자들이 0%로 일반 환자의 5%보다 낮았다. 기타 합병증도 문합 부위누출과 출혈이 이식환자 군에서 각 2.4%, 0%, 대조군인 일반 환자에서 각 2.9%, 1.5%로 나타났다.
 
위절제술 30일 이후 장기 합병증의 발생 비율 또한 이식환자 군 4.9%와 대조군 1.0%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8개월간 재발률을 추적 조사한 결과 또한, 이식환자 군 20.0%와 대조군 19.0%로 큰 차이가 없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이식환자와 일반 환자 사이의 장단기 합병증 발생률이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반면 58개월 간 재발률 추적조사에서 이식환자 1기 위암 환자 26명은 재발이 없었지만, 15명의 2~3기 위암 이식환자 재발률은 75%로 일반 환자 대비 2배 높았다.
 
2~3기 위암 이식환자의 항암제 투여율은 26.6%로 일반 환자의 항암제 투여율인 95.8%에 비해 현저히 낮았는데, 이는 항암제가 이식 장기에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는 불안감 때문으로 분석된다.
 
김형일 교수는 “장기이식 환자들이 위암수술로 인한 합병증 우려를 덜 수 있게 됐다”며 “우려와 달리 항암제가 이식 장기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한 만큼 이식환자들은 적극 항암치료를 받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인 유럽종양외과학회지 최신 호에 게재됐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