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간 되면 심혈관 나빠져' 질환 발생 가능성 예측
이용제·정택학 교수팀 '지방간 그룹, 심혈관계 질환 발생률 '2.56배' 높아'
2021.10.08 11:54 댓글쓰기
사진설명= (좌) 강남세브란스병원 이용제 가정의학과 교수, (우)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정태학 가정의학과 교수[데일리메디 고재우 기자] 강남세브란스병원 이용제 가정의학과 교수와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정태학 가정의학과 교수가 지방간 지표(FLI)를 체크, 향후 10년 사이에 심혈관계 질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해당 방식은 비교적 간단해서 진료 현장 활용도가 높을 전망이다.
 
이용제 교수 등 연구팀은 지난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세브란스병원 헬스체크업(건강검진센터)에서 검진을 받은 2만6176명을 대상으로 연구에 착수했다. 연구팀은 대상군 가운데 기록이 미비한 경우, 나이 및 기저질환 유무 등을 고려해 연구에 적합한 30세부터 69세 성인남녀 7240명을 최종 연구 대상으로 선정했다. 
 
이들을 다시 네 가지 생체정보 혈액 내 중성지방 수치, 감마지티 수치, 체질량 지수, 허리둘레 등으로 나눠 수식에 대입해 FLI를 산출하고, 주요 연구자료로 사용했다. 0~100점 사이로 분포된 지방간 지표에 따라 정상 그룹(30점 미만 : 3,856명), 중간그룹(30~59점 : 1,955명), 지방간 그룹(60점 이상 : 1,429명) 등으로 분류됐다.
 
연구팀은 프래밍함 위험지수가 10% 이상을 보이면 심혈관질환 발생 고위험군으로 정의했다. 연구 결과, 지방간 지표가 증가하면 향후 10년 동안 심혈관질환을 겪게 될 위험도 역시 함께 증가하는 양(+)의 상관관계 형상을 보였다.
 
지방간 지표가 30 아래인 정상 그룹과 60 이상의 지방간 그룹 사이 비교 분석 내용이 중요함을 강조했다.

각 집단 단순 비교 시, 지방간 그룹이 정상 그룹보다 향후 10년 심혈관계 질환 발생률이 3.43배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각 그룹의 여러 혼란 변수를 보정해서 대입했을 때도 지방간 그룹은 2.56배 더 높은 발생률이 나왔다.
 
이 교수는 “일차 진료현장에서 쉽게 획득 가능한 지방간 관련 인자들을 이용해 지방간 지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향후 10년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도까지 얻을 수 있음을 연구로 확인했다”며 “특히 지방간이 자주 발생하는 30세~69세 사이 연령층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이기 때문에, 조기 지방간 발견과 관리를 통해 향후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 교수팀 연구 결과는 위장관 및 간질환 관련 유명 국제학술지인 '한국 성인의 지방간 지표와 향후 10년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도 상관 관계'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