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범사업 병원에 지원자 없는 '호스피탈리스트'
31곳 중 단 3~4곳 근무, '업무 불명확·경력 인정 불안' 등 지적
2016.09.29 06:05 댓글쓰기

호스피탈리스트(입원전담전문의) 시범사업 결과 효과는 있으나 지원자가 없어 고민에 빠졌다.
 

국립중앙의료원은 이런 문제점을 분석하고 제도 실효성을 모색하기 위해 연구동 9층 대강당에서 심포지엄을 28일 개최했다.[사진]


 

전문가들은 호스피탈리스트 업무 불명확성과 미래에 대한 불안감, 그리고 호스피탈리스트가 필요한 중간급 병원에서는 제도를 시행하기 어려운 점 등이 문제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호스피탈리스트는 입원환자 진료를 책임지고 시행하는 전문의로 입원초기 진찰, 경과 관찰, 환자·가족 상담, 간단한 처치·시술, 퇴원계획 수립 등 전반적인 주치의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내년 전공의특별법 시행을 앞두고 있어 그 공백을 메울 방법으로 호스피탈리스트 제도가 주목받고 있는 상황이다.
 

행사에 참석한 보건복지부 의료지원정책과 문상준 사무관은 “시범사업 결과 환자만족도가 증가하고 의료 제공 과정 및 질이 향상 된 것으로 조사됐다”고 제도 도입 효과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9월부터 시행된 시범사업 선정 31개 의료기관 중 3∼4곳만 호스피탈리스트가 근무하고 있을 뿐 대다수 병원은 지원자가 없어 사업이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의료계 관계자들은 호스피탈리스트 지원자가 없는 이유로 ‘불명확성’과 ‘불안감’을 들며 개선이 시급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대하 전 대한전공의협의회 기획이사는 “전국 약 300명의 3~4년차 내과 전공의에게 설문조사한 결과 호스피탈리스트 지원의사가 있는 사람은 10~15%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지원의사가 없는 이유로는 보수, 제도가 정착할지 의문, 정체성과 역할이 불분명하다는 점이 꼽혔다”며 “그러나 조건이 좋아지거나 추후 정착 상황을 봐서는 50%까지 올라갈 것으로 전망됐다”고 덧붙였다.
 

현재 시범사업 중인 제도 개선 방향에 따라 제도 정착과 성공 여부가 달려있다는 설명이다.
 

충북대병원 소화기내과 김기배 교수는 “보수가 적고 역할·정체성에 대한 의문, 지속적으로 일할 수 있는가에 대한 불안감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부산 소재 A병원 관계자 역시 “지원자가 없다는 것이 현실적인 문제다. ‘호스피탈리스트 경력을 추후에 인정 받을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으로 지원을 기피하는 모습이 있다”고 전했다.
 

정작 호스피탈리스트가 필요한 중간급 병원에는 현실적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국립중앙의료원 고임석 진료협력팀장은 시범 시행 중인 호스피탈리스트 제도에 대해 “대형병원에 유리하게 만들어진 제도”라며 “가장 절실한 중간급 병원은 접근하기 어렵다”고 꼬집었다.
 

대형병원은 펠로우가 들어오기 때문에 전문인력 문제가 크지 않지만 중간급 병원은 사정이 다르다는 것이다.
 

이어 고 팀장은 “호스피탈리스트 채용시 최소 4천만원, 실질적으로 1억원의 병원 손해가 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정부 지원이 필수적임을 주장했다.
 

복지부 문 사무관은 “아직 시범사업이 오래 진행되지 않았고 다양한 사안에 대해 꾸준히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해 추후 미비점 등의 개선을 시사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