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 발생, 생체리듬 교란 기인…수학 모델로 증명
고대안암병원 이헌정 교수팀, 수면패턴 아닌 일주기 리듬 중요성 확인
2024.05.23 18:34 댓글쓰기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헌정 교수와 KAIST 수리과학과 김재경 교수팀이 기분장애 환자에서 우울증상 발생이 생체리듬 교란에 기인한다는 사실을 수학적 모델로 밝혀냈다. 


‘기분장애’는 안정적인 기분 조절 어려움으로 상당기간 정상범위보다 처지는 상태로 유지되거나 반대로 지나치게 들뜨는 경우를 말한다.


흔히 ‘조울증’으로 불리는 양극성 장애, 우울증이라고 부르는 주요 우울장애 등을 포함한다.


기분장애 환자들은 정상인에 비해 반복적으로 기분 악화를 경험한다. 이러한 것에 수면패턴과 일주기 생체리듬 교란이 연관돼 있다는 사실은 경험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수면패턴과 일주기 생체리듬 중 어느 쪽이 직접적으로 기분증상 악화를 가져오는 지, 혹은 기분증상 악화가 역으로 이들의 교란을 일으키는지에 대한 인과관계는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기분장애 전향적 코호트 연구에 참여한 환자 중 장기간 웨어러블기기를 착용한 139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환자들은 수면과 일주기리듬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웨어러블기기를 착용하고 스마트폰으로 매일 기분 증상 설문지를 작성했다. 


연구진은 웨어러블기기 기반으로 얻어진 수면패턴과 수학적 모델에 의해 일주기 생체리듬 정보를 계산해냈다. 


600일 이상 웨어러블을 착용한 환자 분석 결과, 주요 우울장애와 양극성1형장애에서 일주기 생체리듬 교란이 기분증상 악화에 66.7%와 85.7% 인과관계가 확인했다.


양극성2형장애에서는 인과관계가 뚜렷하지 않았다. 반대로 기분증상 악화가 일주기 생체 리듬 교란을 일으키는 인과관계는 모든 종류 장애에서 뚜렷하지 않았다.


흥미로운 것은 수면패턴 자체는 기분증상에 인과관계가 없었다는 점이다. 이는 기분장애 환자에서 일주기 생체리듬 교란이 기분 증상에 직접적인 원인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일주기 생체리듬을 회복시키기 위한 규칙적인 수면과 적절한 빛 노출이 기분장애 환자가 안정적인 기분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이라는 점을 의미한다.


김재경 교수는 “수면패턴이 아닌 일주기리듬이 직접적으로 기분증상 악화와 연관이 있다는 것이 획기적인 발견”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헌정 교수는 “약물치료에 더해 디지털 치료기기를 이용해서 일주기 리듬을 측정하고 관리하면 환자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하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 연구결과는 국제 저명학술지 ‘eBioMedicine’ 5월호에 이 달의 주목할 만한 논문으로 선정됐으며, 우수학술지 논문 게재로 BRIC의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에 등재됐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