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 무너진 한국 기초의학 활성화 위해 시급한것
KAMC “의사과학자 양성과 이들 활약 가능한 분야 육성하고 MD-PhD 교류 확대”
2017.02.06 05:40 댓글쓰기

기초의학 활성화를 위해서는 임상의 출신 의사과학자를 양성해 이들이 활약할 수 있는 분야를 중장기적 시각 하에 투자하고 파이를 키워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최근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이하 KAMC)는 ‘기초의학 활성화 방안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가장 부족한 연구 인력이 의사기초의학자임은 모두가 인정하고 있으며 연구비 수주 감소로 인해 의대졸업생들이 기초의학자로 지원하지 않는 악순환이 존재한다”며 “이런 고리를 끊기 위해 의사기초의학자를 위한 연구지원사업 개발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KAMC 정책연구소 전용성 연구원은 “최근 기술융합과 신의료기술의 등장으로 중개연구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해외에서는 바이오헬스 분야 등의 활성화를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R&D 전략을 제시하는 중”이라며 “이를 효율적으로 연결·주도할 수 있는 전문인력은 의사기초의학 연구자”라고 제시했다.
 

즉 임상분야 지식과 기초의학을 필요로 하는 바이오헬스 등 신의료기술사업 활성화를 위해 기초의과학자 양성 투자가 확대되면 21세기 먹거리로 평가받는 바이오산업의 국제경쟁력과 기초의학 인력풀 확보라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미국의 경우 국립보건원에서 임상연구자양성프로그램(MSTP:Medical Scientist Training Program)을 추진, 기초-임상 및 중개연구비를 지급하고 있으며 연구성과가 도출되면 바이오벤처 및 민간투자자의 자금이 지원된다.
 

이에 따라 미국에서는 전체 의대생의 4%가량이 기초연구자로 양성되고 있으며 최근 15년간 14명의 노벨상 수상자가 이 프로그램 출신으로 알려져 있다.
 

영국은 본과는 물론이고 인턴 및 레지던트 단계에서도 의과학자 교육과정이 마련돼 있다. 인턴은 2년 중 4개월을 연구에 전념할 수 있으며 레지던트는 초기 3년간 25%, 임상의는 최고 4년간 50%까지 연구에 투자할 수 있다.
 

일본 또한 기초연구성과 실용화 및 제품화를 위해 학제 간 연구를 지원하고 대학을 기본 플랫폼 삼아 다양한 분야의 기업이 개발테마를 공유하도록 지원한다.
 

국내에서도 정부부처마다 의과학자 육성 사업을 진행 중에 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바이오헬스 미래 신산업 육성 전략의 일환으로 2017년까지 연구역량을 갖춘 의사 2000명을 확보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교육부 또한 의과학 및 생명과학 분야 연구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의사면허와 박사학위를 동시·연계취득하는 의과학자 과정을 마련했다.
 

이에 대해 전 연구원은 “2002년도 의·치의학전문대학원 도입 기본계획시 MD-PhD 과정이 발표됐고 한국연구재단으로부터 2011년 기준 연간 4억 원이 지원됐으나 현재 대부분의 대학이 의·치전 학제를 택하지 않으면서 지원이 중단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2013년도 의과학자 육성지원 사업 개선 방안이 수립됐으나 여전히 지원체계 효율화가 미흡한 상태”라며 “규모 또한 학생 1인당 연 2000만원 내외의 소규모 지원이었으며 연구자 육성보다는 생활과 학자금에 운용됐다”고 밝혔다.
 

더불어 “학생 측면에서 의과학자 진로를 선택할 때 미래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 및 자아실현을 통한 개인적 만족 결여 등의 문제가 존재하는 만큼 이를 해소하기 위한 다각도의 지원과 유인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고 분석했다.
 

따라서 국가 차원에서 중장기 마스터플랜 기반의 안정적 예산 확보 및 지원을 통한 사업 추진 단절 방지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전 연구원은 “기초의학자에 의한 연구를 산업과 연계에 활용성을 높이려면 그만한 시간 및 재정운용이 있어야 한다”며 “인재 양성 사업의 특수성을 고려할 때 개별 대학 단위의 교육 프로그램이 아닌 국가적 계획을 통한 투자가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또한 “대다수 임상의들이 수련 및 전임의 과정 후 최소 2차병원급 이상으로 진출하는 것이 보장되나 기초의학자로서 연구에 매진하기 위한 진로를 결정한 후에는 다양한 길이 보장돼 있지 않다”며 “기초의학자로서 진로 선택이 상대적 불이익과 박탈감을 초래하고 있는 현실에서 국가적 생애 전 주기 지원 제도가 강화돼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밝혔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