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업계 소포장 의약품 공급지속 '난색'
2001.03.18 11:43 댓글쓰기
의약품의 소포장 공급을 놓고 일선 약국과 제약업계가 끌고 당기는 소모전을 계속하고 있다.

18일 유통가, 제약업계, 약국가 등에 따르면 제약사들은 추가 생산비용 및 유통비용이 적지않게 늘어난 소포장 의약품이 의외로 소진되지 않자 소포장 공급을 점차 꺼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약사들은 전문약의 경우 100정 이하 출하를 꺼리면서 과거 500정 내지 1,000정 공급을 주요 포장단위로 출하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일반약도 올해부터 낱알판매가 금지돼 원가압박을 감수하고 소포장 공급에 나섰던 업체들이 다시 원래의 포장단위로 돌아서려 하고 있다.

이는 약국가에서 소포장 단위의 판매가 의외로 많이 일어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약국은 전문약의 경우 의약품의 구입비용과 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소포장 공급이 원할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개국약사들은 특히 저빈도 처방약을 대포장 단위로 구매할 수 없다며 100정 이하 포장단위가 안정적으로 출하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약사들은 다빈도 처방약도 동네약국은 대형약국과 입장이 달라 소포장의 안정적 공급을 바라고 있다.

개국가는 또 일반약과 관련, 낱알판매가 금지됐기 때문에 덕용포장이나 대포장을 소포장으로 소분해 판매하기가 사실상 어렵다며 다양한 소포장 단위의 출시를 제약사에 요청하고 있다.

개국가에서는 실제로 개봉된 의약품중 처방이 나오지 않아 반품을 해야 하는 재고약이 1약국당 38품에, 금액으로는 200억원대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제약사의 한 관계자는 "소포장 단위 출시는 품목별, 처방별, 시장상황 등에 따라 수시로 정책을 변화해야 하는 어려운 점이 있다"며 "그때마다 공장시설을 변경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말했다.

이에대해 서울 소재 개국약사 K씨는 "약국이 필요없는 약을 재고로 쌓아두게 되면 약국도 손해일 뿐만 아니라 결국에는 반품이 많아지게 돼 제약사도 손해일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