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제약, 디지털 치료제 시장 공략 본격화
개인 맞춤형 숙면 유도 전자약 개발 속도
2023.11.17 12:41 댓글쓰기



경남제약이 개인 맞춤형 숙면 유도 전자약(Electroceuticals)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경남제약은 "국민대학교를 비롯해 서울대학교,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과의 분기 점검 회의 결과, 'AI 기반 수면 치료 전자약' 개발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17일 밝혔다.


국민대와 한양대 연구진은 각각 뇌파 측정기기 하드웨어(HW)와 소프트웨어(SW)를 개발하고 서울대(정기영 신경과 교수)는 임상 및 평가 수행을 담당하고 있다.


국민대 이승민 교수팀은 이마에 부착돼 완전 무선형으로 뇌파를 측정할 수 있는 얇고 가벼운 패치의 프로토타입 개발을 마쳐 패치의 검증을 시작했다. 


한양대 임창환 교수팀은 수면 단계 분류 모델을 이용한 전전두엽 뇌파 채널 신호의 수면 단계 분류 가능성을 확인했다. 


서울대 정기영 교수팀은 본격적인 임상시험을 위한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승인을 앞두고 있으며 기존 수면다원검사 장치와 직접 비교를 통한 검증 및 평가를 통해 개인 맞춤형 숙면 유도 전자약의 유용성과 정확성 검증에 나설 계획이다.


차세대 치료제로 불리는 전자약은 전자기적인 자극을 신체에 직접 전달, 관련 질환을 치료하거나 완화시키는 약물 대체치료법으로 전자(Electronic)와 약품(Pharmaceutical)의 합성어다. 


뇌와 신경세포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로 질병을 치료하는 것으로 기존 신약 대비 개발 기간과 비용 및 부작용을 줄일 수 있어 최근 다수의 글로벌 기업들이 앞다퉈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이승민 국민대학교 교수는 "개인 맞춤형 숙면 유도 전자약은 정확하지만, 수면 중 측정이 까다로워 자연스러운 모니터링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고 말했다.


경남제약 관계자는 "현재 다수의 전자약과 디지털 치료제 개발을 검토 중이다. 앞으로도 AI를 활용한 신약 개발에 적극 참여해 시장을 선도하는 업체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