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원제약, 붙이는 비만치료제 개발 본격화
임상 1상 신청···세마글루티드 '주사제→패치제' 연구 3년
2023.08.08 11:35 댓글쓰기

대원제약이 패치형 비만치료제 개발에 속도를 낸다. 


대원제약(대표 백승열)과 라파스(대표 정도현)는 양사가 공동 개발 중인 마이크로니들 패치 비만치료제 ‘DW-1022’의 임상 1상 계획(IND) 신청을 완료했다고 8일 밝혔다.


대원제약과 라파스는 노보노디스크제약의 위고비(성분명 세마글루티드) 주사제를 마이크로니들 패치제로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해 왔다.


해당 프로젝트는 지난 2020년 산업부 핵심 기술 개발 사업 과제로 선정됐다. 양사는 합성 세마글루티드 탑재 마이크로니들 패치 공동 특허도 등록했다.


그 동안 대원제약은 유전자 재조합 세마글루티드를 합성펩타이드로 전환해 신약에 준하는 원료의약품을 개발하고 완제의약품의 비임상 연구를 진행해 왔다.


라파스는 마이크로니들 패치 완제의약품의 제제 개발을 담당해 왔다. 연구를 기반으로 임상 1상은 대원제약이 주관할 예정이다.


마이크로니들은 굵기가 300㎛(1㎛=100만분의 1m) 미만에 길이가 300~800㎛인 작은 바늘을 일컫는다. 찔렸을 때 통증이 거의 느껴지지 않고 피부에 밀착시켜 주로 패치제로 개발한다.


세마글루티드는 지난 2017년 당뇨병 환자의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키기 위해 개발된 약물로 미국 FDA로부터 당뇨 치료제로 허가를 받았다. 2021년에는 비만 치료제로 승인된 약물이다.


다만 기존의 자가 주사제는 환자의 통증 유발 및 2차 감염 등 우려로 환자들의 부담감이 높은 편이며 의료 폐기물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DW-1022’는 간편하게 붙이기만 하면 되는 패치 형태로, 환자들이 직접 주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1mm 이하의 미세 바늘을 활용함으로써 체내 전달률이 우수하고 부작용도 적다.


대원제약 관계자는 “당뇨나 비만 등 장기간 관리를 해야 하는 만성질환의 경우 복약 편의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기존 주사제에 비해 인체흡수성과 편의성을 크게 증대시킬 혁신적인 치료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